메뉴

2023년 중국 디지털 100대 도시 순위, 1위 베이징

 

디지털화는 지능화다. 사물인터넷을 통해 사물과 사물, 사물과 컴퓨터 등 모든 것들이 서로 소통하고, 컴퓨팅을 통해 통제 가능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디지털 도시는 이런 것이 가능해진 도시다. 물론 도시의 완벽한 디지털화는 이제 시작 단계다. 첫 걸음으로 도시 와이파이를 통한 다양한 편의시설의 디지털화가 이뤄지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서울의 버스 교통망이다. 버스 정류장마다 실시간 소통을 통해 운행하는 버스의 예상 도착 시간이 기다리는 시민들에게 제공된다. 초단위의 오차만 있을 뿐이다. 

머지 않아 다가오는 버스의 빈 좌석이 몇개이며, 내리는 승객들의 동의를 얻어 정거장마다 앞으로 내릴 고객들이 표시될 수도 있다. 

중국도 이런 도시 디지털화에 힘쓰고 있다. 지방 정부는 물론 중앙 정부까지 적극 지원하고 있다. 도시의 디지털화를 통해 소비생활과 생산이 더욱 밀접해지며, 다양한 서비스 영역이 생겨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가능해지는 때문이다. 

중국 현지 매체 봉황망에 따르면 ‘2023년 중국국제디지털경제박람회’가 6~8일 허베이성 스자좡(石家庄)시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됐다.

"인터넷이 수천 개의 산업에 힘을 실어주고, 디지털경제가 고품질 발전을 이끈다"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박람회에서는 '2023년 중국 디지털 100대 도시'와 '2023년 중국 디지털 도시 경쟁력 연구 보고서'가 발표됐다.

공업정보화부 중국전자정보산업발전연구원 직속 기관인 CCID 컨설팅이 발표한 '2023년 중국 100대 디지털 도시' 중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베이징

2위 상하이

3위 선전

4위 광저우

5위 청두

6위 충칭

7위 항저우

8위 우한

9위 톈진

10 난징

 

CCID 컨설팅은 2019년부터 디지털 도시 경쟁력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해 5년 연속 디지털 도시 경쟁력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또 '2023년 중국 디지털 도시 경쟁력 연구 보고서'는 정보 기반, 디지털 경제, 디지털 거버넌스, 민생 서비스, 디지털 혁신, 디지털 저탄소 등 6개 차원에서 디지털 도시의 종합적인 강점과 다양한 분야의 디지털화 수준을 분석해 도출됐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