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최대 여행사 씨트립 출산 보조금 확대, 中네티즌 "좋은 기업이야!

 

중국 최대 온라인 여행사 씨트립이 전체 직원(해외지사 포함) 대상으로 파격적인 자녀 양육 지원금 정책을 발표했다. 

중국 당국의 출산 지원 정책에 적극 호응하고 나선 것이다. 

사실 중국에서 여행업만큼 중국 당국 정책에 영향을 받는 산업도 드물다. 당장 위드 코로나 정책이 그랬지만, 그 이전도 적지 않은 경우 중국 여행산업은 중국 당국의 외교 정책 등에 따라 큰 영향을 받아왔다.

당장 한국에 대한 '한한령'이 대표적인 사례다. 씨트립이 중국 당국에 잘 보여야 할 이유다.

중국 네티즌들은 이 같은 씨트립의 행동에 적극적인 호응을 보내고 있다. 

제일재경 등 중국 현지 매체에 따르면 내달 1일부터 입사 3년 이상 씨트립 직원은 자녀가 만 5세가 될 때까지 매년 1만 위안(약 180만 원)씩, 총 5만 위안(약 900만 원)을 지급받게 된다.

자녀 양육 지원금을 받는 직원은 약 2만 명으로 추산되며 씨트립은 이를 위해 10억 위안(약 18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

씨트립은 2015년부터 임신 직원 교통비, 출산 의료비 등을 지원하며 출산을 장려해왔다. 지난해 씨트립 직원들의 신생아 출산은 2015년 대비 147% 증가했으며, 둘째 자녀 출산은 329% 급증했다.

중국 네티즌은 씨트립의 정책에 대해 "좋은 기업가 정신"이라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한편 지난해 중국 인구는14억1175만 명으로 전년 대비 85만 명 감소했다. 중국 인구가 감소한 것은 1961년 이후 61년 만에 처음이다.

사실 회사가 정규 월급이외에 다양한 복지 정책을 편다는 데 싫어할 국민은 없다. 당장 그 회사 직원이 아니라고 해도, 씨트립 정도 규모의 회사에서 펼치는 복지 정책은 다양한 연관 산업을 부흥시키는 부가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이번 씨트립 정책으로 육아 산업에 최소 연 10억 위안이 추가 투입될 예정이다. 국가가 해야 할 일을 사적 영역인 회사에 떠넘기는 것은 언제부터인가 중국 당국이 적극 활용하는 수단으로 잡은 지 오래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