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2년 중국 전기치료기 시장점유율 Top 10

 

동양의학에서 침이나 뜸은 체내의 혈을 자극해 신체 스스로가 병을 치료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외부 약물을 복용, 주사하거는 것과 비교해 부작용이 거의 없다는 게 최대 장점이다. 

다만 직접적인 약물을 투입해 즉각적인 효과를 얻는 서양 의학보다 아무래도 증세 치료가 늦을 수밖에 없다는 게 단점이다. 또 치료가 늦어지는 사이 병을 키울 수도 있다는 문제도 있다.

이에 과거 서양 의학에서는 이 방법을 경시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동양의학의 근복적 사상에 공감하고 서양 의학과 접목해 새롭게 발전시키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는 동양의학을 서양 의학의 과학적 연구 방법을 채택해 새로운 발전을 꾀하고 있다.  

침과 뜸의 방법 역시 전기, 전자 기술을 활용해 새롭게 발전하고 있다. 침, 뜸의 치료 효과를 현대적으로 구현한 전기치료기가 대표적이다. 외부에서 가해지는 전기자극(고주파, 저주파, 중주파, 단파 등)에 인체의 근육과 장기 등이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특성을 이용해 질환을 개선시키고 몸을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게끔 돕는다. 

최근 중국 포털 사이트 소후닷컴에 '2022년 중국 전기치료기 인기 순위 Top 10 브랜드'가 공개됐다.

 

1위 XIANGYU MEDICAL  20.95% (시장 점유율)

2위 Haobro  11.86%

3위 Longest  8.31%

4위 Beoka  5,92%

5위 Benao  4.18%

 

1위는 허난성 안양시에 본사를 둔 XIANGYU MEDICAL이 차지했다. 물리치료 관련 장비 전문업체로 ISO 9001, QHSEW, ISO 13485 인증을 받았으며 중국 전기치료기 시장의 약 20%를 점유하고 있다. 

2위에는 상하이에 위치한 Haobro(시장 점유율 11.86%)가 이름을 올렸다. 이 업체는 뇌졸중 후유증 치료를 위한 전문 전기치료기를 생산하고 있다. 

3~5위는 Longest, Beoka, Benao 등이 차지했으며 각각 8.31%, 5.92%, 4.18%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