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지난해 중국 역대 혼인 건수 최소 기록, 中네티즌 "경제적인 스트레스가 원인"

 

중국의 혼인 건수가 2014년 이후 9년 연속 감소했다.

결혼을 하지 않으면, 아이를 낳을 수 없고, 아이가 태어나지 않으면 인구는 자연히 감소하게 된다. 역사상 중국 인구 수는 지난 2022년이 역대 최고점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중국 인구는 올해부터 그 수가 감소하는 국면에 접어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그 원인에 대한 분석이 분분하다.

12일 중국 민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내 혼인 건수는 683만 건으로 전년(763만 건) 대비 80만 건이나 줄었다. 이는 중국 당국이 혼인신고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86년 이후 가장 적은 수치다.

중국의 혼인 건수는 2013년에 1346만9000쌍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9년 연속 하락했다.

중국 당국은 혼인 건수가 줄어든 이유로 1990년대 이후 출생 인구 감소, 결혼 가능 인구 중 남성이 여성보다 많은 인구 불균형, 평균 초혼 연령 상승 등을 꼽았다.

또 과도한 '차이리'(彩禮, 신랑이 신부 측에 주는 지참금) 문제와 결혼을 하지 않기로 한 비혼족 증가 등도 원인으로 꼽혔다.

한편 동양의 전통적인 도덕률이 혼인 건수와 출산율 감소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동양의 오랜 전통, 특히 유교적 사고 방식에 의거해 남자에겐 가정과 자녀에 대한 책임의식을 부가하고, 여성에게는 다양한 도덕의 굴레를 씌워 정식 혼인 관계 이외에서는 아이를 낳지 못하도록 제약해 결과적으로 결혼과 출산을 기피하게 만든다는 분석이다. 

중국 네티즌은 혼인 건수 감소는 "경제적인 스트레스 때문"이라며, "집값이 높아질수록 혼인 인구가 더 줄어들 것"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