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5월 중국내 안드로이드 휴대전화 성능 순위

 

중국은 '줄 세우기'를 좋아한다. 그래서 사람도 평가를 해 줄을 세우고, 도시도 평가를 해 줄을 세운다. 대표적인 게 바로 정치 서열이다. 시진핑 당 총서기가 국가 주석을 맡아 서열 1위이고, 이어 총리 등등으로 나머지 상무위원들의 서열이 정해져 있다.

사실 14억 인구의 다양한 결정을 위해 서열화는 어쩔 수 없는지도 모른다. 14억 인구가 나뉘어 서로 낫다고 주장하면 이른바 '백가쟁명', 혼돈 그 자체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첨단 제품에서도 중국은 평가해 줄 세우기에 열심이다. 대표적인 게 스마트폰이다. 중국에서 생산된 중국 브랜드들만의 성능 평가여서 주목된다.

중국 휴대전화 평가 플랫폼 '안투투닷컴(AnTuTu.com)'이 지난 5월 기준 안드로이드 휴대전화 성능 평가 순위를 최근 발표됐다. Top 10 브랜드는 다음과 같다.

 

1위, iQOO Neo8 Pro

2위, 이지아핸드폰11(一加11)

3위, OPPO Find X6 Pro

4위, iQOO 11 Pro

5위, 홍모어8 Pro+(红魔8 Pro+)

6위, vivo X Fold2

7위, vivo X90 Pro+

8위, 샤오미13 Ultra

9위, iQOO 11

10위, 메이주20 Pro(魅族20 Pro)

 

iQOO Neo8 Pro는 중국에서 가성비가 좋은 제품으로 유명하다. 135만8352점으로 1위에 올랐다.

이지아핸드폰11(一加11)은 저가 모델로 약 4000위안에 구매가 가능하다. 8Gen2 프로세서를 사용하며 132만4440점을 획득해 2위에 올랐다.

OPPO Find X6 Pro는 카메라 기능이 뛰어나 소비자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이지아핸드폰11와 비교했을 때 성능은 비슷하나 가성비 측면에서 낮은 평가를 받아 130만7816점으로 3위에 올랐다. 

중국 스마트폰들은 높은 가성비로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중국 스마트폰들이 삼성의 기술력에는 못미쳐도 가격 대비 성능은 그만큼 좋다는 의미다. 현재 스마트폰 기술 수준은 이미 소비자가 체험으로 그 차이를 실감하기 어려울 정도다. 삼성이 '초격차'를 주장하고 있지만, 사실 스마트폰의 기술력은 소비자 입장에서 '사건의 지평선'을 넘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특정 수준 이상의 기술 차이가 체감으로는 크게 느껴지지 않게 되는 블랙홀에 진입했을 수 있다는 의미다. 


사회

더보기
중 허베이 한 도시 "빨강, 파랑, 검정색 광고 금지" 조치 논란...중 네티즌, "황당하다"
‘간판에서 빨강, 파랑, 검정색 금지’ 중국 허베이성 산허시의 『산허시 도시계획건설관리 가이드라인』이 중국 사회 논란이 되고 있다. 이 가이드 라인은 “국제 및 국내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빨강, 파랑 바탕색이나 글씨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실제 중국 매체에 따르면 이 지역 일부 상점의 간판이 빨간색에서 초록색으로 바뀌었고, 일부 간판은 아예 철거됐다고 전했다. 한 상인은 “장사가 눈에 띄게 영향을 받았다”고 하소연했다. 중국 인민일보은 이에 “멀쩡히 걸려 있던 간판이 대체 누구에게 피해를 줬다는 말인가? 억지로 색상을 바꾸라고 하는 조치는 어떤 논리로 설명할 수 있을까?”라고 반문하고 있다. 신문에 따르면 실제 이 같은 간판 색상 변경을 강요한 것은 상인의 영업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지출을 떠안도록 했다. 신문에서 한 상인은 “새 간판 제작에 거의 2,000위안(약 38만 8,820 원)이 들었는데, 이는 반달치 임대료에 해당한다”고 밝혔으며, 이 비용을 누가 책임질 것이냐는 의문도 제기됐다. 간판은 오랜 기간 사용되며 고객의 기억에 남는 상징이 되었고, 고객 유치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간판이 법규를 위반하지 않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