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영의 지혜 - 사람들은 보이는 것만 본다

사람들은 보이는 것만 본다.

쉽게 아우라의 빛에 취한다.

진품이 내는 게 아우라지만, 사람들은 진품의 진위를 가리지 못한다.

그저 아우라만 볼뿐이다. 그게 사람이다.

사실 보이지 않고,

보여주지도 않고,

보라는 게 어불성설일 수 있다.

다만 현명한 사람, 현인은 그렇지 않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본다.

최소한 그러려고 노력한다.

보여주지 않는 것은

더욱 더 노력해서 본다.

감추는 데는 반드시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전국시대 다음과 같은 고사가 있다.

초나라 재상 소해휼(昭奚恤)에 대한 이야기다. 어찌나 능력이 뛰어난지 다른 나라의 모두가 이 소해휼을 두려워했다.

초나라 왕이 갑자기 그 이유가 궁금해졌다.

이 때 한 사람이 나서 동화를 들려준다. 그 유명한 호가호위(狐假虎威)의 고사다.

“옛날 백수의 왕인 호랑이가 숲에서 여우를 만났습니다. 그 여우가 호랑이를 두려워하지 않고 말했습니다.

‘내가 백수의 왕이야. 하느님이 그리 정했지. 힘만 세고 무식한 네가 알 일이 없지.’

말을 들은 호랑이가 어이가 없어 말했습니다.

‘거짓말이면 잡아먹겠다.’

여우 역시 두려워하지 않고 말했습니다.

‘그럼 내가 앞장서 걸어갈 터이니, 네가 따라오면서 잘 봐둬. 다른 동물들이 나를 어떻게 모시는지.’

그리고 둘은 숲을 돌아다녔습니다. 정말 여우가 앞장서 걸으니 숲은 모든 동물들이 두려워하며 도망쳤습니다. 동물들은 모두가 호랑이를 두려워했지만, 호랑이는 모두가 여우를 두려워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자 왕이시여, 북방의 나라들이 두려워하는 게 소해휼입니까? 왕이십니까?”

이야기를 듣고서야 왕은

소해휼의 권세의 배경이 자신에게 있음을 깨달았다고 한다.

합종연횡의 전략가 소진의 이야기도 있다. ‘두 번의 한탄’을 한 사연이다.

본래 소진은 진나라를 위해 천하통일을 위한 합종의 계략을 세웠다. 그리고 벼슬을 구하였지만 성공하지 못한다.

결국 소진은 진나라에서 가족들이 마련해준 막대한 비용만 탕진한 채 고향에 돌아온다.

고향에 돌아온 소진을 부모는 쳐다보지도 않았고,

아내는 물도 주지 않았다고 한다. 전국책에는 이런 소진의 한탄이 나온다.

소진은 이를 악문 채 더욱 책략에 정진했다.

그리고 세운 게 바로 진나라에 대응하는 연횡의 계략이다.

소진의 연횡의 계략은 조나라에서 인정을 받았고,

소진은 조나라의 재상이 된다.

조나라는 금은보화로 소진을 대접한다.

가난에 찌들었던 과거 탓에 사치를 좋아했던 소진은

행차 때마다 화려한 금장을 한 행렬을 내세웠다.

하루는 그가 고향 땅을 지날 때였다.

과거 자신을 박대했던 친척 중 한명이 감히 서지도 못하고

기어서 자신 앞으로 와 절을 하는 모습을 봤다.

소진이 물었다.

“아니 이게 무슨 일입니까?” 그 친척이 답했다. “아, 공이 이렇게 출세를 하셔서 권세와 부귀를 누리시는데 어찌 제가 감히 나서겠습니까?”

소진이 이때 하늘을 보고 다시 한 번 한탄했다.

“아, 빈궁할 때는 부모조차 자식으로 여기지 않더니, 권세와 부귀를 누리니 먼 친척조차 이리 대접이 달라지는구나. 어찌 세상 사람들이 부귀권세를 가볍게 여길 수 있을 것인가!”

소진이 다시 태어나도,

두 번의 한탄을 금치 못할 것으로 보인다.

산천이 의구하듯 인간세태도 조금도 변하지 않았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