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비야디, 세계 전기차 판매량 1위 기록하며 순이익 5배가량 증가

 

 

중국 전기차 업체 비야디(比亞迪, BYD)가 지난해 비약적인 실적을 기록했다. 중국 전기차 시장이 커지고 있는 덕이다.

블룸버그통신은 29일 비야디의 지난해 순이익이 166억 위안(약 3조14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446%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비야디가 지난 1월 30일 내놓은 실적 잠정치인 160억∼170억 위안에 부합한 수치로 블룸버그가 집계한 애널리스트 전망치 159억8000만 위안을 웃돌았다.

에너지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비야디는 순수전기차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를 합한 전기차 인도량을 205% 늘려 테슬라(131만 대)를 제치고 판매량 세계 1위(186만 대)에 올랐다. 중국 신에너지차량(NEV) 시장에서의 점유율도 약 30%로 높아졌다

블룸버그는 비야디가 올해 신형 고급 전기차 출시를 통해 실적 추가 성장이 예상되나, 테슬라가 촉발한 가격 경쟁으로 인해 마진은 압박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테슬라는 세계 첫 전기차 전문 생산 브랜드로 입지를 굳혔지만, 중국 시장이 세계 최대의 전기차 시장으로 부상하면서 조금씩 그 위상이 축소되고 있다.

무엇보다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들의 기술력, 디자인 역량이 성장하면서 테슬라의 아성을 위협하고 있다. 배터리 분야에서 테슬라의 기술력이 앞서 있지만, 이 역시 한국의 전문 배터리 생산업체들이 중국을 뒷받쳐주고 있는 형국이다. 중국 전기차 업체들의 본격적인 독주가 예고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왕촨푸(王傳福) 비야디 회장은 실적 발표 기자회견에서 "북유럽, 영국, 태국, 호주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지만, 당장 테슬라가 버티고 있는 미국 승용차 시장에는 진출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왕 회장은 "미국 진출 계획이 없기 때문에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인해 비야디가 받는 충격도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