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영의 지혜 - 책사 장의(張儀)의 '삼필망', 성공을 위한 조언

 

본래 교훈은 실패에 있다.

성공은 항상 특수한 상황에서 특수한 조건이 맞춰져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래서 남이 성공했다고 해서 내가 한다고 성공하는 일은 드물다.

하지만 실패는 다르다.

남의 실패는 항상 나의 실패가 된다. 남의 실패를 피하면 성공 확률이 그만큼 높아지는 것이다. 실패의 요인이 되풀이 되면 반드시 실패하게 된다.

한자로 그 것을 흔히 필망(必亡)이라고 한다. 현대 한자로 사정(死定)이라고 한다. 앞의 한자는 반드시 죽고, 뒤에 한자는 죽도록 결정돼 있다는 말이다.

 

필망은 시간이 지나도 필망이다.

100년 전의 실패 요인은 대부분의 경우 요즘도 실패의 요인이다. 그것이 인문적 요인인 경우 특히 더 그렇다. 기술적 발전이나 시대의 변화 속에 달라지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전국시대 진나라의 책사 장의(張儀)은 이런 점에서 중국 역대 최고의 책사 중 한 명으로 꼽힌다.

많은 책을 남기지 않았지만, 독특한 지혜와 행실로 유명하다. 장의와 친구 소진을 가르친 스승 귀곡선생은 두 책사 덕에 역사 속에 단 한 번도 등장하지 않고도 지금까지 그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한국에는 장의의 행적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조선 왕조 탓이다. 책사는 자국의 이익을 위해 다른 나라를 속이는 사술(詐術)을 부린다고 해 조선에서는 환영을 받지 못했다.

한비자도 금서로 했던 곳이 조선이니 얼마나 편협했는지 알 수 있다.

 

전국책에는 장의가 정의한 ‘삼필망’이 나온다.

3가지를 행하는 나라는 반드시 망한다는 의미다. 과거에는 나라가 그렇고, 요즘은 기업이 그렇다.

'삼필망'은 장의가 진나라 혜왕 앞에서 펼친 유세 속에 등장한다.

유세란 별개 아니라 왕 앞에서 하는 정견 발표다. 요즘으로 치면 회사 경영자 직에 응모한 이들이 선보이는 프레젠테이션이다.

 

"세상에 멸망하는 경우가 세 가지 있다고 합니다. 제가 듣기로 그 세 가지란 '자기 나라가 어지러우면서 잘 다스려지는 나라를 공격하는 것, 사악한 것으로 바른 것을 치는 것, 그리고 역리로써 순리를 치는 것으로, 이런 경우는 반드시 망한다'라는 것입니다."

 

오늘날 회사로 치면, 내부 조직이나 자금이 충분치도 않은 데 새로운 사업을 도모하면 반드시 실패를 하고, 다른 회사를 인수하려 해도 반드시 망하고, 임기응변의 경영으로 회사의 기강이 무너지면 반드시 망하는 것이다.

 

장의는 본래 조나라 재상을 만나 자신의 학식과 견식을 펼치려 했지만 도적으로 몰리는 수모를 당한다. 재상을 만나 이야기하던 중에 재상이 아끼던 벽옥이 없어진 것이다. 재상과 그 재상의 식객들은 장의를 "가난하여 탐심을 감추지 못하는 인물"이라며 도적으로 몰았다.

하지만 곤장을 아무리 때려도 장의가 도적질을 자백하지 않자 그냥 풀어준다. 장의가 반죽음 상태가 돼 집에 돌아오자 아내가 울면서 "왜 공부를 그만두고 벼슬을 하려하냐"고 한탄했다. 장의는 그냥 웃으며 아내에게 물었다.

"내 혀가 아직도 있기는 있소?" 아내가 그렇다고 답하자 장의가 말했다. "그럼 됐소. 다시 기회가 있소."

이 일화가 실제인지는 알 수 없지만, 전국책에 나오는 장의의 혜왕 앞 유세를 보면 장의의 식견이 얼마나 논리적이며 설득력을 갖추었는지 잘 알 수 있다.

혜왕은 장의를 재상으로 삼았고, 진나라의 천하통일의 기틀을 다졌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