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바이두, 인공지능(AI) 챗봇 '어니봇' 출시

중국 당국 검열에 맞춘 정보 제공으로 AI 이용자 세뇌 우려돼

 

중국 최대 검색기업 바이두가 인공지능(AI) 챗봇 '어니봇(Ernie Bot, 원신이옌·文心一言)'을 16일 출시했다. 미국 오픈AI의 '챗GPT' 대항마를 선보인 것이다.

생성형 인공지능(AI) 챗봇 시대에 미국과 중국의 경쟁이 더욱 격화할 전망이다.

문제는 미국 AI와 달리 중국 AI는 당국의 통제를 철저히 받는다는 점이다. 중국 AI가 학습한 중국어 문서들 자체가 중국 당국의 검열을 받은 것들이다.

이런 문서를 학습한 AI가 과연 진실을 이야기할 수 있을지 서구 사회는 강한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AI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시기가 되면 중국 AI는 중국 당국을 대신해 글로벌 사회 곳곳을 세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바이두는 이날 베이징 행사장에서 어니봇과의 질의응답 녹화 영상을 선보였다. 어니봇은 수학 연산,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동영상 제작 등을 시연하고 'AI 챗봇이 클라우드 및 콘텐츠 사업과 어떻게 결합할지' 등에 대해 설명했다.

바이두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 리옌훙(로빈 리)은 어니봇 출시 기자회견에서 "어니봇을 검색과 클라우드 컴퓨팅,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등 주요 사업과 결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행사로 바이두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 중국 최대 정보기술(IT) 업체 텐센트(騰迅) 등과 함께 벌이는 차세대 AI 플랫폼 경쟁에서 가장 앞선 행보를 보이게 됐다.

글로벌 금융그룹 맥쿼리는 이날 보고서에서 어니봇이 바이두 검색과 통합될 경우 바이두가 온라인 광고시장에서 점유율 하락세를 반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 제조사와 뉴스사이트 등 바이두 제휴사들도 어니봇을 자사 비즈니스에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바이두 경영진은 내부적으로 어니봇이 지난해 11월 미국 오픈AI의 '챗GPT' 공개 당시 수준에 도달했으며, 중국어와 중국문화 등에서는 우위에 있다고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어니봇의 기반인 AI 어니는 2019년 개발돼 구동되는 거대 언어 모델로 언어 이해와 언어·이미지 생성 등 작업 수행 능력을 점진적으로 높여왔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