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도시별 소비자 만족도 평가 순위, 1위 쑤저우

 

중국은 다양한 방식으로 지역사회 평가를 진행해 발표하고 있다. 자연스럽게 도시들 간 경쟁이 유발되고 경쟁에 의해 도시들의 다양한 지표 수준이 조금씩 높아지고 있다. 어떤 기준이건 평가가 진행되고 발표된다는 것은 전반적인 수준을 끌어올리는 선순환의 결과를 유도한다. 

한국 사회에서도 이 같은 평가 방식의 도입이 필요해 보인다. 한국의 도시들 간 발전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지표를 만들어 도시 간 비교를 진행해 종합적인 수준을 높이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중국 소비자협회가 '2022년 100대 도시 소비자 만족도 평가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소비자 만족도가 높은 Top 10 도시는 다음과 같다.

 

1위 쑤저우(91.81점)

2위 칭다오(90.40점)

3위 항저우(89.74점)

4위 옌타이(89.17점)

5위 난징(88.13점)

6위 푸산(88.15점)

7위 톈시(88.13점)

8위 샤먼(84.45점)

9위 베이징(84.42점)

10위 이창(83.54점)

 

이번 도시 소비자 만족도 평가는 지난해 4분기에 중국내 주요 100개 도시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평가 지표는 소비공급, 소비환경, 소비자 권리보호 등 3가지였으며 조사 결과 소비공급은 80.54점, 소비환경은 78.92점, 소비자 권리보호는 77.53점으로 나타났다. 2022년 100개 도시 소비자 만족도 종합 평가 점수는 78.81점으로 전년 대비 2.21% 하락했다.

 

 

소비심리와 기대치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는 ‘일일 소비지출 예상', '경제상황 예상', '소비신뢰지수' 등 3가지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소비자의 48.1%가 '올해와 같은 수준'으로 지출할 계획이라고 답했고, 30.9%는 ‘소비를 늘린다', 21.0%는 '소비를 줄인다'고 답했다. 전년과 비교해 '소비를 줄인다'와 '올해와 같은 수준'의 비율이 각각 6.7%, 3.7%포인트 증가했고 '소비를 늘린다'는 6.1%포인트 줄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