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NFT(디지털 수집물) 플랫폼 순위 Top 5, 1위 징탄

 

NFT(대체불가토큰, Non Fungible Token) 시장이 중국에서갈수록 커지고 있다. 

NFT(대체불가토큰, Non Fungible Token)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콘텐츠에 고유한 인식 값을 부여한 것으로 예술 작품, 영상, 음악, 게임 아이템 등을 복제 불가능한 콘텐츠로 만들 수 있는 게 특징이다.

7080년대 초중고등학교 인근 학생용품점에는 인기 연예인들의 화보를 팔았다. 오프라인의 화보는 저작권이 없는 짝퉁의 경우 화질이 떨어졌다. 자기가 좋아하는 연예인의 화보를 잘 인쇄된 질 좋은 것으로 갖고 싶은 팬심은 예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다.

NFT 시장은 이 같은 팬심에서 유지가 된다. 고유한 대체불가한 온라인 화보를 갖고자 하는 팬심이 시장을 키우는 것이다. 예술품에 대한 사랑도 마찬가지다. 

신종 디지털 자산으로 주목받는 NFT 상품이 중국에서는 '디지털 수집물(Digital Collection, 数字藏品)'로 불린다.

중국 당국이 NFT 상품을 통한 이익 창출을 금지하고 있어 알리바바, 텐센트, 비리비리, 징둥닷컴, 바이두, 샤오미 등 중국의 기술 기업들은 NFT를 '디지털 수집물'로 지칭하고 있다.

중국 메타버스 전문 매체 '메타버스간사(元宇宙简史, A Brief History of the Metaverse)'가 2월 기준 중국 디지털 수집물 플랫폼 30대 업체를 발표했다. Top 5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징탄(鲸探)

2위 수장중국(数藏中国)

3위 환잡(丸卡)

4위 웨이이이수(唯一艺术)

5위 중전신문창(中传新文创)

 

1위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의 핀테크 계열사 앤트그룹이 운영하는 NFT 서비스 플랫폼 징탄(Jingtan)이 차지했다.

징탄의 NFT 서비스 분야는 문화예술, 애니메이션, 스포츠 등 다양하다. 단, 중국내 다른 디지털 수집물처럼 제품 구입 후 180일 이후 무료 양도는 가능하지만 개인간 매매는 불가능하다.

작년 상반기 기준으로 중국 디지털 수집물 플랫폼 업체는 1000여 개에 달했다. 그 중 3분의 2가 설립 1년 미만의 신생업체였다.

중국 시장조사 연구기관인 iiMedia 컨설팅이 발표한 '2022년 중국 디지털 콜렉션 산업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중국 디지털 콜렉션 시장 규모는 2억8000만 위안(약 520억 원)에 달했으며 2026년에는 23억9000만 위안(약 446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