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영의 지혜 - 멈출 때를 알아야

 

중국의 지혜는 대화법에 있다.

직설적이지 않으면서 상대방 입장에서 설명해 상대방이 수긍하도록 하는 게 특징이다.

전국시대 유세가들의 대화법이기도 하다.

전국책에는 다음과 같은 고사가 있다.

유세객의 전형적인 설득 방식을 보여주면서, 실제 멈출 때는 아는 게 얼마나 현명한 것인지도 보여준다.

전국시대 유명한 책사인 소려(蘇厲)가 주나라 황제에게 알려준 계책이다.

당시 상황은 진나라 명장 백기(白起)가 한과 위 두 나라를 패퇴시키고 양나라를 공격하던 때였다. 양나라는 주나라와 순망치한의 관계였다.

소려는 먼저 주 황제에게 백기의 양나라 공격의 위험성에 대해 설명을 한다.

"한, 위 두 나라를 패배시키고 위나라 장수 서무를 죽인 명장이 바로 백기 장군입니다. 그는 용병술이 뛰어난데다가 천운마저 타고 났습니다. 그런 백기가 지금 양나라를 공격한다는데 이 양나라도 틀림없이 함락당할 것입니다. 양나라가 깨어지면 주나라가 위험해집니다."

자신의 나라가 위험해진다고 하니 황제도 솔깃해질 수밖에 없다.

"무슨 좋은 방법이 없겠소?"

소려가 답했다.

"당연히 백기의 공격을 막아야 합니다. 백기에게 한 가지 고사를 이야기 해주면 됩니다."

 

 

 

그리고 이야기 속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소려가 한 이야기다.

"옛날 초나라에 양유기라는 자가 활을 잘 쏘았는데 버들잎을 100보 떨어진 거리에서 쏘아도 백발백중이었습니다. 좌우에 구경하던 자들이 모두 훌륭하다고 칭찬했지만 그곳을 지나던 어떤 나그네가 ‘잘 쏘는군. 가르칠만해’라고 말을 하는 것입니다.

좌우의 군중이 화를 냈습니다. ‘당신이 양유를 가르친다니, 정말 양유보다 활을 잘 쏜다는 말인가?’ 그러자 나그네가 말했습니다. ‘어떻게 활을 쏘는지 가르치겠다는 게 아니요. 아무리 버들잎까지 쏴 백발백중인 자라도 그만둘 때를 모른다면 어떻게 되는지 알고 있기 때문에 가르친다고 한거요. 당신이 그칠 때를 모른다면 조금 후엔 기력이 쇠약해져 한순간에 명궁이라는 명성마저 사라질 것이라는 것을 알려주려는 것이오.’"

소려는 그러면서 말했다.

"이 이야기에 이어 백기에게는 백전백승의 명장이지만 멈출 때를 모르면 지금까지 공도 한순간에 없어질 수 있다는 점을 상기시켜 주십시오. 그리고 이번 양나라 공격은 너무 먼 길을 이동한 뒤여서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전쟁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 자칫 지기라도 한다면 모든 명성이 물거품이 될 수도 있다고 언급하시면서 ‘이번엔 몸이 아프다 핑계를 내세워 양나라 공격을 하지 않는 것이 더 낫다’고 설득하시면 백기의 마음도 변할 것입니다."

어투나 대화법은 낡았지만, 적이 우려하는 점을 정확히 파악해 그 점을 부각시켜 상대방의 마음을 돌리도록 하는 것은 분명 오늘날 경영 현장에서도 유효한 방법이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