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IT기업들, 정부 지시로 미국 '챗GPT' 서비스 차단

 

미국 오픈AI의 대화형 인공지능(AI) 챗봇 '챗GPT' 열풍이 일고 있는 가운데 중국 주요 IT기업들이 당국의 압력으로 '챗GPT' 서비스를 차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이 서구 알고리즘으로 꾸며진 '챗GPT'에 대항해 중국 공산당의 알고리즘으로 움직이는 AI 챗봇을 내놓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중국이 공산당 알고리즘의 챗봇을 내놓을 경우 미국과 중국의 대화형 AI 챗봇 간 이념 대결이 벌어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24일 일본 경제지 닛케이 아시아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AI 기반 챗봇이 검열받지 않는 답변을 내놓을 수 있는 점 등을 우려해 중국 내 IT기업들의 '챗GPT' 서비스 제공을 금지시켰다.

당국으로부터 자사 플랫폼에 '챗GPT'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지 말라는 지시를 받은 곳은 중국 최대 인터넷기업 텐센트(騰迅·텅쉰),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그룹의 핀테크 자회사 앤트그룹 등 테크(기술)기업들이다.

또 이들 테크기업들은 '챗GPT'와 유사한 서비스를 출시할 경우 사전에 당국에 보고해야 한다. 그로 인해 '챗GPT' 열풍 이후 앞다퉈 이와 유사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는 사실을 공개한 중국 테크기업들은 '챗GPT'와 유사한 것일 뿐 연계된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트댄스 등이 '챗GPT'와 유사한 생성형 AI 챗봇을 개발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중국 관영 매체들도 당국의 대화형 AI 통제 정책을 거들고 나섰다. 차이나 데일리는 20일 소셜미디어 웨이보에 "챗GPT가 미국 정부가 지정학적 이익을 위해 거짓 정보를 퍼뜨리고, 사실을 조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중국 당국의 통제로 현재 오픈AI의 '챗GPT'는 현재 중국에서 공식적으로는 이용할 수 없다. 하지만 일부 인터넷 이용자들은 가상사설망(VPN)을 통한 우회접속과 텐센트의 소셜미디어 위챗(웨이신)에서 개발자들이 제공하는 연결 프로그램 등을 활용해 '챗GPT'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