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IT기업들, 정부 지시로 미국 '챗GPT' 서비스 차단

 

미국 오픈AI의 대화형 인공지능(AI) 챗봇 '챗GPT' 열풍이 일고 있는 가운데 중국 주요 IT기업들이 당국의 압력으로 '챗GPT' 서비스를 차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이 서구 알고리즘으로 꾸며진 '챗GPT'에 대항해 중국 공산당의 알고리즘으로 움직이는 AI 챗봇을 내놓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중국이 공산당 알고리즘의 챗봇을 내놓을 경우 미국과 중국의 대화형 AI 챗봇 간 이념 대결이 벌어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24일 일본 경제지 닛케이 아시아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AI 기반 챗봇이 검열받지 않는 답변을 내놓을 수 있는 점 등을 우려해 중국 내 IT기업들의 '챗GPT' 서비스 제공을 금지시켰다.

당국으로부터 자사 플랫폼에 '챗GPT'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지 말라는 지시를 받은 곳은 중국 최대 인터넷기업 텐센트(騰迅·텅쉰),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그룹의 핀테크 자회사 앤트그룹 등 테크(기술)기업들이다.

또 이들 테크기업들은 '챗GPT'와 유사한 서비스를 출시할 경우 사전에 당국에 보고해야 한다. 그로 인해 '챗GPT' 열풍 이후 앞다퉈 이와 유사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는 사실을 공개한 중국 테크기업들은 '챗GPT'와 유사한 것일 뿐 연계된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트댄스 등이 '챗GPT'와 유사한 생성형 AI 챗봇을 개발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중국 관영 매체들도 당국의 대화형 AI 통제 정책을 거들고 나섰다. 차이나 데일리는 20일 소셜미디어 웨이보에 "챗GPT가 미국 정부가 지정학적 이익을 위해 거짓 정보를 퍼뜨리고, 사실을 조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중국 당국의 통제로 현재 오픈AI의 '챗GPT'는 현재 중국에서 공식적으로는 이용할 수 없다. 하지만 일부 인터넷 이용자들은 가상사설망(VPN)을 통한 우회접속과 텐센트의 소셜미디어 위챗(웨이신)에서 개발자들이 제공하는 연결 프로그램 등을 활용해 '챗GPT'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회

더보기
중국 코로나19 재확산 조짐, 감염자 대부분 경증
지난 연말연시에 이어 중국에서 코로나19가 재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국 당국은 이 같은 상황에도 '위드 코로나' 정책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실제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 팬데믹 상황을 공식 해제했듯 중국에서 새롭게 발생한 코로나는 중중률이 낮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다만 코로나 바이러스가 계속 변이종을 만들어 내고 있어, 인류를 여전히 위협하는 상황이어서 방심하기는 이르다는 게 방역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30일 중국 관영지 글로벌타임스는 중국내 코로나19 감염자수가 지난달 말부터 증가해 낮은 수준의 '준(準)유행' 단계에 진입했으며, 감염자의 증세는 대부분 경증으로 파악됐다고 보도했다.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재감염자 다수는 젊은층이며 대체로 1차 감염 때보다 가벼운 증상을 보였다. 방역 전문가들은 통상 코로나19에 감염됐던 사람들의 면역력이 6개월가량 지나면 약해지고, 신종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가 출현하면 코로나19가 다시 확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중국에서는 XBB 변이를 포함한 오미크론 하위 변이가 여전히 우세종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중국질병통제예방센터는 XBB 하위 변이체가 15일부터 21일까지 표본 추출한 변이체의 95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