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일본내 외국인 인재의 66% 중국인, 中네티즌 "인구 많으니 그럴수밖에"

 

"앞으로 일본은 중국인이 이끈다?"

좀 황당해보이는 말이지만, 지금 추세라면 틀린 말도 아닐 듯 싶다. 

최근 일본 닛케이신문에 따르면 일본의 '고급 외국인 인재' 중 66%가 중국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일본은 여전히 국수주의적인 면이 많아 외국인에게 제공되는 기회는 자국인보다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국 인재를 써야할 일이 있다면 10명 중 6명은 중국인을 반드시 써야 하는 것이다. 이는 2위 인도인(6%), 3위 한국인(4%)을 크게 앞선 수치이다.

사실 중국은 표면적으로는 과거 일본의 침략을 상기하며 늘 경계의 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양국 관계 저변에는 우호적인 분위기의 또 다른 기류가 존재한다.

그 첫째 배경은 중국 공산당을 국민당의 공세로부터 살려낸 것인 일본이라는 점이다. 일본이 중일전쟁을 일으켜 국민당을 괴롭히지 않았다면 국공합작은 없었고, 미국의 지원을 받은 국민당의 공세에 공산당은 패퇴해 소멸했을 가능성이 높다.  

또 다른 배경은 일본이 동양의 개화기 초기 중국 지식인들을 가장 대접해준 나라였다는 점이다. 서구 문물을 먼저 받아들인 일본은 기존 동양의 가치를 버리지 않고 존중했고 청나라 말기 혼돈의 군벌시절 중국에서 천대받던 지식인들은 지원해줬다. 오늘날 중국 지식인들 가운데 적지 않은 이들이 친일행보를 보이는 이유이기도 하다.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 문제로 양국 갈등이 상존하고 있지만 중국과 일본의 지식인들 사이에는 묘한 유대감이 역사를 두고 흐르고 있다.

한편 이번 일본내 중국 인재 비중이 높은 것에 대해 중국 네티즌은 "중국 인구가 많으니 인재도 자연히 많을 수밖에 없다"면서도 "왜 인재들이 중국에 있지 않고 외국에 나가는지 안타깝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중국 IT 산업에서 일하는 사람의 평균 연소득은 2만5000달러예요.

 

중국 인구가 많으니 인재도 자연히 많을 수밖에 없죠.

 

세계 최고 인재는 모두 중국인입니다.

 

일본에 가서 일하고 싶어요.

 

왜 국내에 있지 않고 일본에 가는 거죠?

 

국내 명문학교 졸업한 사람 대부분이 해외로 나가는 거 같아요.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