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디지털 휴먼 기업 순위 Top 5, 1위 바이두

 

중국은 막대한 네티즌 수를 기반으로 글로벌 온라인 경제의 수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이 테스트 베드면 중국은 그 테스트를 기반으로 한 성공의 베드인 셈이다.

무엇보다 하루 쏟아지는 막대한 빅데이터들이 중국 온라인 경제를 더욱 단단하게 만들고 있다. 인공지능(AI) 분야의 발전은 결국 AI가 학습하는 데이터의 양이 중요한데, 중국은 그 데이터가 세계 최대 수준이다. 

특히 인터넷 가상세계에는 인종, 남녀, 빈부 등의 구별이 없다. 오프라인의 누구라도 원하는 새로운 아이디, 아바타를 꾸며 살아갈 수 있다. 그런 온라인의 가상세계는 오프라인의 현실을 벗어나려는 많은 이들의 새로운 유토피아가 되고 있다. 그 유토피아는 최근 기술 발전과 더불어 오프라인 현실과 빠르게 접목돼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온라인 경제 생태계를 만들어내고 있다. 

중국 인터넷 매체 인터넷주간(互联网周刊)이 AI(인공지능) 디지털 휴먼 기업 순위를 발표했다.

이번 순위는 AI 앵커, AI 직원, AI 아이돌 등을 포함한 다양한 AI 디지털 휴먼 형태를 집계하여 중국 AI 디지털 휴먼업계 50개 기업을 비교했다. 종합 순위 Top 5는 다음과 같다.

 

1위 바이두(Baidu)

2위 알리바바

3위 천시화념(天矢禾念)

4위 바이트댄스

5위 창일시빈(创壹视频)

 

중국 최대 검색 엔진 기업 바이두는 AI 앵커와 동계 올림픽 수화 디지털 휴먼 앵커로 중국 디지털 휴먼 산업의 종합 실력 1위를 차지했다.

특히 바이두는 오픈AI의 인공지능(AI) 챗봇 '챗GPT'(ChatGPT)와 유사한 AI 챗봇을 3월 출시할 계획이다. AI 챗봇을 독립형 애플리케이션(앱) 형태로 출시한 뒤 이를 점진적으로 기존의 바이두 검색 엔진과 통합시킬 예정이다.

검색 결과를 단순히 링크만으로 제공하는 데에서 나아가 AI 챗봇이 생성하는 대화체 설명문까지 함께 내놓겠다는 것이다.

한편, 중국의 디지털 휴먼 지역 분포도를 살펴보면 2022년 11월 기준 광둥성, 저장성, 산둥성의 디지털 휴먼 기업 수가 전체의 40%를 차지했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