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쓰촨성 루딩현 규모 5.6 지진 발생, 中네티즌 "흔들려서 깼어요"

 

최근 세계 각지에서 화산 활동이 과거보다 활발해 지질학자들을 긴장시키고 있는 가운데 연초부터 중국 쓰촨성에서 규모 5.6의 지진이 발생했다.

쓰촨성은 본래 큰 지진이 많기로 유명한 곳이다. 설 명절 벽두부터 전해진 지진 소식에 중국 네티즌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번 지진은 26일 오전 3시 49분 중국 쓰촨성 간쯔장족자치주 루딩현에서 발생했다.

중국신문망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지진 발생 후 4시간 동안 규모 4.5 여진을 비롯해 총 7차례의 규모 3.0 이상 여진이 발생했다. 지진 발생에 따른 인명 피해 상황은 보고되지 않았다

중국 지진대(地震臺)는 이날 지진이 작년 9월 발생했던 규모 6.8 강진의 여진으로 분석했다.

루딩현에서는 작년 9월 5일 규모 6.8의 강진과 수 차례 여진이 발생해 주택 5만여 채가 파손되고 93명이 숨진 바 있다.

중국에서는 매년 크고 작은 자연 재해가 발생하고 있지만, 쓰촨성 일대의 지진은 매번 적지 않은 인명 피해를 동반해 중국 네티즌은 물론 한국 등 이웃 국가들의 우려를 낳고 있다.

중국 당국은 최근 건축, 토목 관련 규제를 통해 내진 설계를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그 기준이 일본은 물론이고 아직 한국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 소셜미디어 웨이보에는 이번 지진 발생 지역에서 229㎞ 떨어진 쓰촨성 성도 청두를 비롯해 러산, 더양, 네이장 등지에서도 진동이 감지됐다는 글이 잇따랐다. "집이 흔들려 잠에서 깼다"는 경험담과 "모두의 안전을 바란다"는 기원의 글이 많았다. 일부 네티즌은 쓰촨성에 중국 고대 유적과 아름다운 자연 경관이 많은 것을 언급하며 "아름다움과 위험은 병존하는 것"이라고 운명론을 내놓기도 했다.

 

청두에서 사는 건 위험한가요?

 

모든 사람이 무사했으면 좋겠습니다!

 

위험함과 아름다움은 병존하는 거예요.

 

우리 가족은 다 쓰촨에 있는데 흔들리는 거 때문에 다 깼어요.

 

흔들려서 깼어요. 잠도 못 잤고요.

 

쓰촨에 계신 분들 모두 안전 조심하세요!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