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의 육아 앱 순위 Top 5, 1위 친보보(亲宝宝)

 

중국 14억 인구의 아이들을 기르는 데도 갈수록 IT(정보통신) 기술이 힘을 발휘하고 있다. 

21세기 들어와 중국도 갈수록 출산율이 떨어지는 상황이다. 

원인은 간단하다. 한국과 다르지 않다. 아이를 낳아 기르는 부담이 커진 때문이다. 각종 교육비에 아이들의 일상적 행복까지 책임져야 한다.

자연히 젊은 부부들은 아이를 낳아 희생하기 보다는 아예 낳지 않는 쪽을 택한다. 한 때 유행한 딩크족 성향이 이제는 일반화하고 있다. 

중국 당국은 이런 상황을 반전시키기 위해 각종 우대정책을 펼치고 있다. IT 기술을 활용한 육아 지원도 한 부분이다. 

중국 당국의 고심에 힘입어 각종 IT업체들이 다양한 앱서비스를  출시해 경쟁하고 있다.

16일 중국 온라인 매체인 인터넷 주간(互联网周刊)이 '2022년 분야별 중국 최고 인기 앱 순위'를 발표했다. 그 중 육아 어플 순위 Top 5는 다음과 같다.

 

1위 친보보(亲宝宝)

2위 마마망잉육(妈妈网孕育)

3위 보보수잉육(宝宝树孕育)

4위 취미(聚美)

5위 맥악구(麦乐购)

 

2012년 첫선을 보인 1위 어플 친보보는 '성장 기록 클라우드'와 '스마트 육아 도우미'라는 두 가지 핵심 기능으로 1억 명이 넘는 등록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다.

산부인과, 소아과, 영양학, 발달심리학, 교육학 등 5개 주요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육아 팀과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임신, 교육 및 교육'을 통합하는 육아 플랫폼을 구축해 월간 이용자 2000만 명, '성장 기록 공간'의 누적 업로드 사진 100억 개, 누적 업로드 동영상 시간 50억 분의 독보적인 기록을 달성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