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산시성 100대 기업 순위 발표, 1위 진능공고집단

 

중국 산시(山西)성은 타이항(太行)산맥 서쪽 지역으로 춘추시대 오패(五覇)의 하나였던 진(晋)나라가 있던 곳이다.

현재 산시성 성도인 타이위안(太原)에는 애플 최대 협력업체인 대만 폭스콘의 생산공장이 위치해 있으며, 타이위안 동쪽 약 90㎞ 떨어진 양취안 지역은 중국 최대 석탄 생산지로 잘 알려져 있다.

산시성의 1인당 GDP(총생산)은 중국 평균보다 낮다. 중국 GDP 순위 50위 권에 드는 도시를 한 곳도 갖지 않은 성으로 유명하다. 현재 산시성 수준의 성급 행정구역은 광시좡족자치구, 네이멍구자치구 등이다.

산시성 경제는 중국 당국의 지원 아래 그래도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21년말 기준으로 GDP가 2조2600억 위안을 기록했는데, 이는 2020년 1조7800억 위안보다 27% 성장한 수치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 아래 성장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산시성의 경제 발전 속도가 어느 정도인지 잘 알 수 있다. 2010년만 해도 GDP가 1조 위안을 넘지 못했는데, 불과 10년 만에 2배 이상의 성장을 거둔 것이다.

최근 중국 산시성기업연합회와 산시성기업가협회가 ‘2022년 산시 100대 기업 발표회’를 개최했다. 2022년 산시 100대 기업 중 Top 3는 다음과 같다.

 

1위 진능공고집단유한회사(晋能控股集团有限公司)

2위 로안화공집단유한회사(潞安化工集团有限公司)

3위 산시초매집단유한책임회사(山西焦煤集团有限责任公司)

 

지난해 산시성 Top 3 기업의 매출은 진능공고집단이 4811억1800만 위안, 로안화공집단이 2195억9000만 위안, 산시초매집단이 2153억1200만 위안을 기록했다.

100대 기업에 오른 기업들의 총 매출은 약 2조5233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6.61% 증가했다. 평균 자산 총액은 전년 대비 11.51% 증가했으며, 평균 순이익은 전년 대비 107.31% 증가했다.

또 100대 기업 중 3개가 세계 500대 기업 순위에 포함됐고, 8개 기업이 중국 500대 기업 순위에 올랐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