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방역 완화로 중국 Z세대 화장품 소비 급증 전망

 

화장품 산업은 한때 중국에서 FMCG(fast-moving consumer goods, 일용 소비재) 분야에서 가장 활황이었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중국 정부의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해 판매량이 급감하며 최근 수년 간 어려움을 겪었다.

최근 중국 정부가 '제로 코로나' 엑시트를 시작하면서 1990년대 중후반에 태어난 Z세대의 화장품 '보복 소비'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9일 컨설팅회사 베인앤드컴퍼니와 리서치회사 칸타월드패널의 보고서를 인용해 "중국이 '위드 코로나'로 전환하면서 최대 수혜자는 퍼스널 케어 제품 제조사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봉쇄와 이동 제한으로 사회적 활동에 발이 묶였던 중국 Z세대의 억눌렸던 수요 덕에 일상 재개와 함께 화장품 제품의 판매가 늘어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특히 "코로나19 방역으로 인해 글로벌 고가 화장품들에 대한 소비가 줄어든 가운데 중국에서 스킨케어 제품의 판매가는 평균 2.5% 인하됐다"며 "일상 재개가 경제 성장을 이끌고 중산층의 소득을 늘리면 화장품 브랜드들이 제조 비용 상승을 상쇄하기 위해 소매가를 인상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소비자들이 새로운 방역 정책에 적응하는 데는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며 향후 한두 달 간은 일부 불확실성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의 방역 완화 소식에 한국 화장품 업계의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 국내 화장품 업계는 중국의 방역 완화 조치에 따라 중국 내수 시장을 재공략할 방침이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중국 내 소비 심리 회복과 매출 기회 확대에 대비해 면세 채널을 비롯해 현지 마케팅전략을 펼칠 예정"이라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