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10월 상하이 대외 무역 수출입 총액 3조4600억 위안

 

'3조4600억 위안(약 650조 원)'

중국 상하이의 올 1~10월간 무역수출액이다. 전년 동기 대비 5% 이상 성장한 수치다.

상하이는 중국에서 1급 경제 도시 중 하나다. 선전, 베이징 등과 함께 중국의 경제 성장을 이끄는 세 별 중 하나다. 

이번 상하이의 성적은 일반적인 기대치를 넘어선 것이다. 올초 상하이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두 달가량 봉쇄됐다. 

중국 상하이 세관에 따르면 지난 10개월 간 상하이 대외 무역 수출입 총액이 누적 3조4600억 위안(약 650조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5.3%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갔으며 중국 전역의 대외 무역 수출입 비중에서 약 10%를 차지했다. 그 중 수출액은 1조4100억 위안으로 12.5% 성장했으며, 수입액은 2조500억 위안으로 0.9% 성장했다.

특히 외국인 투자기업의 수출입 비중이 60% 이상을 차지했으며 민영 기업이 강한 활력을 보였다.

지난 10개월간 외국인 투자기업의 수출입 무역액은 2조1200억 위안으로 작년 대비 5.1% 성장했으며 전체의 61.2%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민영 기업의 수출입 무역액은 1조100억 위안으로 13.6% 성장했다. 성장률이 전체 성장률보다 8.3% 높아 상하이 대외무역 발전을 이끄는 주요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일대일로 국가들에 대한 수출입 무역액이 크게 증가했다. 10개월 간 일대일로 국가에 대한 수출입 총액은 7828억5000만 위안으로 작년 대비 6.8% 성장했다. 그 중 상하이의 아세인 국가 수출입 총액은 4665억4000만 위안으로 작년 대비 6.6% 성장했다.

신에너지 제품 수출은 중국의 경쟁력이 상승했음을 보여준다. 10개월 간 상하이의 전기, 기계 제품 수출액은 9580억80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11.4% 성장했다. 그 중 리튬이온 축전지의 수출액은 199억9000만 위안을 기록했다.

중국에서 신에너지 산업은 뜨거운 각광을 받는 분야 중 하나다. 가장 각광을 받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상하이는 본래 금융 분야의 산업이 집중된 곳이다. 이 상하이가 금융외 새로운 발전 동력으로 적극 추진하는 분야가 신에너지 산업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