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매년 암 검사를 포함한 건강검진을 받았다. 아무 이상이 없었다. 그런데 지난해 건강 검진 결과 신장암 진단을 받았다. 그 것도 말기여서 손을 쓸 수 없다는 판정을 받았다. 과연 그동안의 건강검진은 아무런 책임이 없는 것일까? 최근 중국에서 이 같은 사례가 네티즌들에게 알려지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장 모 씨는 자신이 10년간 검진을 받은 한 건강검진 기관이 오진이나 진단 누락을 했다고 의심했고, 해당 기관은 성명을 통해 이를 부인했다. 현재 시급히 권위 있는 기관의 개입과 객관적이고 공정한 조사 결과가 요구되고 있다. 이 사건은 중국 네티즌들은 모두 건강검진 기관에 대해 검사 능력의 진위 여부를 평가해주기를 바라는 기대를 드러냈다. 이 과정에서 감독 당국이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중국 네티즌들은 목소리를 높였다. 이 사건이 큰 관심을 불러일으킨 것은 일부 건강검진 기관과 그 검진 결과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 위기를 반영한 것이라는 게 중국 매체들의 분석이다. 중국에서는 최근 수년간 상업 건강검진 기관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공립병원 검진센터를 보완하는 존재가 되었다. 검진 절차 설계, 편의성, 쾌적성 등의 측면에서 상업 기관
“PPT는 죄가 없다.” 중국에서 ‘PPT’ 제작이 비효율성 행정의 대표처럼 욕을 먹자, 나온 반응이다. 무슨 말일까? 결국 중국의 관료주의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사실 중국은 세계 최고의 관료주의 국가다. 중국 땅에서 왕정이 들어선 지난 5000년 이래 중국은 언제나 관료 행정으로 나라를 다스려왔다. 서구의 관료 행정보다 수천년 앞선 선진 제도다. 문제는 관료행정주의의 폐단이다. 국가에서 유능한 인재를 골라서 전국민에게 봉사는 관료가 되도록 하고 대신 국가차원의 부를 선사했다. 하지만 똑똑하다는 게 뭔가? 효율성을 잘 안다는 것이고, 결국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효율성, 즉 관료가 편하고 백성을 괴로운 폐단이 양산되는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그냥 그렇게 해’다. 이유는 없다. 본래 “그랬다”는 게 이유다. 역사의 수많은 사례가 있지만, 오늘날 중국의 대표적인 사례가 ‘PPT 제작’이다. 본래 PPT라는 게 무엇인가? 말 그대로 서류제작 양식이다. 언어적 설명을 최소화하고 대신 그래픽과 영상으로 이미지를 전해 전하고자 하는 내용을 상대방이 이해하기 쉽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중국 관료주의 사회에서는 이 같은 PPT가 어떻게해서 관료주의 폐단을 대표하는
올 상반기까지 중국에서 6600만 명의 소비자들이 총 1억 900만 대의 가전제품을 구형에서 신형으로 교환한 것으로 집계됐다. 소위 ‘이구환신’(구형을 신형으로 교체하는 비용 지원 정책) 정책의 결과다. 중국은 지난해부터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펼쳐왔다.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짙어지자 이에 대한 대응으로 내수시장을 적극 키우기로 하면서 다양한 재정정책과 함께 저금리 통화 완화정책을 펼쳐왔다. ‘이구환신’은 중국 재정정책의 대표주자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이구환신’ 정책 실행 결과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이 ‘이구환신’ 정책의 지원을 받아 6,600만 명 이상의 소비자가 12대 가전제품을 대상으로 중고 제품 1억 900만 대 이상을 신제품으로 교환한 것으로 집계됐다. 6,900만 명 이상의 소비자가 휴대전화 등 디지털 제품 7,400만 점 이상을 구매했다. 전국 8만 2천 개의 판매 매장이 전기자전거 중고 교환 캠페인에 참여해 총 905만 6천 대의 신차로 교체되었다. 전통 브랜드 상품과 서비스도 소비자들에게 폭넓게 사랑받았다. 중국 매체들은 “중고제품 교환 정책은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었
‘문화소비, 관광소비, 감성소비, 즉시소비’ 올 상반기 중국 소비시장을 규정하는 4대 특색이다. 과거에 없었던 형태여서 중국 매체들은 전체를 묶어서 ‘신소비’라 지칭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올 상반기 “신(新) 소비가 두드러졌고, 신산업은 빠르게 성장했으며, 새로운 성장 동력도 강하게 분출되었다”며 “신(新) 소비가 두드러져 내수 확대와 질적 향상을 견인했다”고 말했다. 차이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상반기 중국의 사회소비재 소매 총액은 24조 5,500억 위안(약 4,751조 6,52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했다. 2분기 증가율은 5.4%로 1분기보다 0.8%포인트 빨라졌다. 전반적으로 보면, 상반기 최종 소비 지출이 경제 성장에 기여한 비율은 52%에 달해, 중국 경제 성장의 주요 동력이 되었다. 대체로 신소비가 소비 성장을 견인했다. 영화 《나타2》가 흥행 기록을 갈아치우고, 트렌디한 장난감 라부부(Labubu)는 구매 열풍을 불러일으켰다. 연초에는 빙설 경제가 ‘찬 자원’을 달구었고, 연중에는 ‘청량 경제’가 더운 여름을 새로운 방식으로 달구었다. 농촌 저녁 공연 ‘촌완(村晚)’은 농촌 문화관광의 인기를 이끌었고, ‘쑤차오(苏超)
‘상하이 4만6,805위안, 베이징 4만5,144위안’ 중국 성별 1인당 가처분소득에서 상하이와 베이징이 1, 2위를 기록했다. 경제 수도와 정치 수도가 나란히 중국 고소득 성 순위 1, 2위를 차지한 것이다. 3위는 3만8000위안에 육박한 저장성이었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 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상반기 성별 1인당 가처분소득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상하이 주민의 1인당 가처분소득이 4만6,805위안(약 905만 원)으로 전국 1위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베이징 주민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4만5,144위안(약 873만 원)으로 2위를 기록했다. 두 도시의 주민소득은 임금소득이 견인했다. 올 상반기 동안 베이징 주민의 1인당 임금소득은 29,447위안(약 569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했다. 주민 가처분소득 증가를 3.4%포인트 견인해 기여율은 71.3%였다. 중국 1인 당 가처분소득 3위는 저장성이었다. 저장성은 상반기 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이 37,813위안(약 731만 원)으로 3위를 차지했다. 장쑤성은 같은 기간 가처분소득이 3만 위안(약 580만 원)을 돌파하여 30,706
중국의 올 상반기 1인당 가처분소득이 2만2000위안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명목기준 5% 이상 늘어난 수치다. 특히 베이징과 상하이 1인당 가처분소득이 4만5000위안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화로 약 870만원가량이다. 중국 31개 성 가운데 11개 성이 1인당 가처분 소득 2만위안(약 387만원)을 돌파하는 한 것으로 집계됐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 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상반기 성별 1인당 가처분소득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 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은 2만1,840위안(약 415만 원)이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명목 기준 5.3% 증가한 수치다. 물가 요인을 제외한 실질 증가율은 5.4%였다. 중국 31개 성 가운데 11개 성에서 1인당 가처분소득이 2만 위안을 초과했다. 특히 상하이와 베이징은 4.5만 위안을 넘겼다. 주민 가처분소득이란 주민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소득으로, 최종 소비지출과 저축에 사용할 수 있는 총소득을 의미한다. 가처분소득에는 현금소득뿐만 아니라 현물소득도 포함된다. 수입원에 따라 가처분소득은 네 가지 항목으로 구성되며, 각각 임금소득, 경영순소
유치원 급식의 납 중독 사건을 조사한 중국 공안 당국이 관련자 6명을 구속하고 10명에 대해서는 문책 조치를 했다고 중국 매체들이 전했다. 어린이 납중독에 대한 중 네티즌들의 반응은 격앙된 상태다. 한 네티즌은 “사형 시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번 조사에는 간쑤성 당·정부 주요 책임자를 단장으로 구성됐으며, 성 기율위원회, 교육청, 공안청 등 관련 부처가 참여하고, 생태환경부와 국가위생건강위원회의 전문가들도 포함시켰다. 국무원 식품안전판공실도 현장 지도를 시행했다. 이는 정부가 이번 사건을 얼마나 중시했는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조사 과정의 전문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였다. 조사결과, 일부 누리꾼은 왜 값싼 천연 식용색소 대신 고가의 회화용 색소를 사용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조사 결과, 사진과 영상의 색감을 더 생생하게 만들어 원생 모집에 유리하게 하기 위해서였다고 밝혀졌다. 심지어 원장도 해당 색소가 들어간 음식을 섭취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유치원 투자자, 원장, 조리사 모두가 식품 안전에 대한 기본 상식이 없고, 유아와 자신의 건강까지도 무시한 매우 무책임한 태도를 보여준 것이라고 중국 매체들은 지적했다. 납 중독이 급식만의 문제인지
‘501만 건’ 중국의 올 상반기말 현재 유효 발명특허 수다. 전년동기 대비 13%가 훌쩍 넘는 두 자릿수 증가세를 시현했다. 중국의 기술 굴기가 가열차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국가지식재산국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중국의 국내 유효특허 현황을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국내 유효 발명특허 수는 501만 건으로 전년 대비 13.2% 증가했고, 인구 1만 명당 고가치 발명특허 수는 15.3건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네이처 인덱스 2025 연구 리더 순위》에 따르면, 중국은 고품질 연구성과에서 세계 1위를 계속 유지하고 있으며, 그 격차는 계속 벌어지고 있다. 《2025년 글로벌 100대 혁신기관》 보고서에서는 중국 기업 6곳이 선정되었고, 텐센트와 화웨이는 나란히 상위 10위에 들었으며, 화웨이는 2015년 이후 연속 선정되고 있다. 이 같은 기술 굴기는 스타트업 증가로 이어졌다. 국가정보센터에 따르면, 산업단지 생산지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했으며, 2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21.2%, 상반기 전체로는 15.8% 증가했다. 창업형·혁신형 기업의 경영활력 지수는 2분기 각각 38.3%, 28.2% 상승했고, 상반기 기준으
‘제3회 중국국제공급망엑스포(China International Supply Chain Expo, CISCE)’가 20일 베이징에서 막을 내렸다. 엑스포 기간 중, ‘녹색농업’을 주제로 한 특별 행사가 열렸다. 참석자들은 이번 행사를 통해 중국이 농업 발전 방식을 적극적으로 전환하고, 녹색농업 산업망 구축을 가속화하며 글로벌 친환경 농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고 평가했다. 카를로스 와트슨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중국 주재 대표는 “중국은 혁신, 가치 창출, 녹색 기술 분야의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으며, 관련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 덕분에 첨단 기술 영역에서 선도적인 위치에 올랐다”고 말했다. 엑스포의 6대 핵심 산업망 중 하나인 ‘녹색농업망’ 전시구역은 ‘논밭에서 식탁까지’를 주제로 구성됐다. 이번 전시에는 전통적인 농업 선도 기업뿐 아니라 선별 장비, 검사 기기, 스마트 포장 등 농업 공급망의 세분화된 분야에 특화된 전문 기업들도 대거 참여해 이목을 끌었다. 많은 기업이 농업의 현대화와 지능화를 실현한 최신 사례들을 집중적으로 선보였다. 황둬둬(黃多多) 얌 차이나(百胜中国·Yum China) 공급망 최고책임자는
‘출시 7일만에 사용자 1억 명 돌파, 출시와 함께 1억2400만 위안 계약 수주’ 최근 중국을 주도하는 AI(인공지능) 대형모델 딥시크(DeepSeek)와 휴머노이드 로봇의 실적이다. 중국을 대변하는 유니콘들이다. 중국의 새로운 기술 기업들이 산업 구조 개편을 빠르게 주도하고 있다. 미국의 강력한 견제에도 불구하고 중국 기술 유니콘들의 굴기가 돋보이는 대목이다. 중국 매체들은 이들 유니콘을 ‘신산업의 주자’라 부르며 새로운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이들 매체에 따르면 실제 이들 딥시크, 유머노이드 로봇 외 신에너지차는 생산·판매 모두 전년 동기 대비 40% 이상 성장했다. 최근 상하이에서 개최된 2025년 세계모바일통신대회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현재 433종의 AI 대형모델을 등록하고 서비스 제공을 시작했다. 300개 이상의 도시에서 5G-A 커버리지를 실현했고 사용자 수는 1000만 명을 넘어섰다. GSMA(세계이동통신협회) 대중화권 총재 쓰한은 “전 세계적으로 중국은 5G 상용화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기술 혁신은 기존 서비스를 최적화할 뿐 아니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했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이 구축 규모와 추진 속도에서 우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