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앙방송총국(CMG)이 제작한 춘완(春晩, 설 특집 프로그램)이 9일 저녁 8시(현지시간)에 시작됐다. 약 40여년 간 이어져온 춘완은 중국인의 설에 빼놓을 수 없는 문화 대명사다. 춘완의 시작은 198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중국 공영방송인 중앙텔레비전방송국(CCTV)은 춘제(春節, 설)을 맞아 섣달 그믐날 밤마다 종합 문예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온 가족이 둘러앉아 '춘완'을 보는 것은 전통 민속인 만두 빚기, 춘련 붙이기와 마찬가지로 중국인들의 설 풍속 중 하나가 됐다. 춘완은 프로그램의 내용과 표현 방식, 기술 수준이 높아 중국 TV 예능의 정수로 여겨진다. 2024년 춘완은 '국민 춘완'이라는 주제로 중국 각계 각층의 서민들을 춘완의 주인공으로 섭외했다. 국수 요리사, 퇴직 기능공, 경찰, 스포츠 선수 등이 각자의 이야기를 전했으며 전국 5·1 노동상 수상자, 선저우 17호 우주선 탑승팀, 과학 연구자, 문화재 보호 종사자 등 업계 대표 50여 명이 노래 '애니메이션을 보던 우리는 자랐다'를 열창했다. 창연쇼 '연금'에서는 중국 고대의 길상과 축복을 뜻하는 대표 문양 그림에서 사람이 나오는 고대 '패션쇼'를 선보이며 중국의 가상 합성 기술의 높
지난 9일 중국 중앙방송총국(CMG)이 제작한 춘완(春晚, 설 특집 프로그램)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올해 춘완의 메인 스튜디오는 베이징에 설치되었으며 랴오닝(遼寧) 선양(沈陽), 후난(湖南) 창사(長沙), 산시(陜西) 시안(西安) 및 신장(新疆) 카스(喀什) 스튜디오에서도 함께 개최했다. 춘완은 올해로 41년째를 맞아 노래, 무용, 만담, 희극, 무술, 마술, 곡예, 뮤지컬 등 다양한 유형의 프로그램을 진행했으며, 세계 곳곳에 있는 중국 시청자들에게 즐겁고 행복한 설 분위기를 선사했다. 올해 춘완은 '국민의 춘완'을 주제로 해 다양한 일반인들이 무대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번 춘완은 글로벌 200개국 2100개 이상의 방송사와 협력했으며 49개국 3000여개 전광판을 통해 생중계되거나 보도됐다.
지난해 중국 소비 시장이 회복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일 성추핑(盛秋平) 중국 상무부 부부장(차관)은 기자회견에서 "상무부는 2023년을 '소비 진작의 해'로 설정하고 소비 독려에 나서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여러 조치를 시행했으며, 해당 노력이 지속적인 소비 회복으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지난해 중국내 소비재 소매 총액은 전년 대비 7.2% 증가해 47조 1000억 위안(약 8664조 원)으로 증가했다. 또 서비스 판매는 20% 증가했으며, 요식업 수입은 20.4% 증가해 5조 위안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 부부장은 "지난해 도시와 농촌에 상업 시스템을 개선하고 도시를 국제 소비 중심으로 발전시켜 영향력과 소비 동력을 강화하는 데 주력했다"며 "전국적으로 시범 보행거리, 스마트 상권 및 매장을 확대하고 지역사회 중심의 편의 생활권을 구축하여 주민들의 생활 편의를 증진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해 중국의 온라인 소매 판매액은 15조 4000억 위안(약 2832조 원)으로 11년 연속 세계 1위 지위를 지켰다. 실물 상품의 온라인 판매는 8.4%, 신에너지차(전기차, 하이브리드, 수소차) 판매는 37.9% 증가해 전체 자동차 판매의 31.6%를
‘창장(長江)삼각주 일체화 발전’이 지난 5년 동안 탄탄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창장(長江)삼각주 3성(省) 1시(市) 정부 업무 보고’에 따르면 상하이시·장쑤(江蘇)성·저장(浙江)성·안후이(安徽)성 등 지역의 경제 총량은 30조 위안(약 5550조 원)을 돌파했다. 창장삼각주는 중국에서 경제 발전이 가장 활발하고 개방 정도가 높으며,혁신 능력이 강력한 지역 중 하나로, 지난 2018년 이후 창장삼각주 지역총생산(GRDP)이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줄곧 24% 정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 국토 면적의 4%에 불과한 3성 1시가 전국의 4분의 1에 육박하는 경제총량을 일군 셈이다. 최근 발표된 통계에 따르면, 상하이의 GRDP는 4조 7200억 위안(873조2억 원), 장쑤는 12조 8200억 위안(2371조 7000억 원)을 기록했으며,저장과 안후이는 각각 8조 2600억 위안(1528조 1000억 원)과 4조 7100억 위안(871조 3500억 원)에 달했다. 창장삼각주의 혁신 발전 가속화와 경제 구조 최적화도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상하이에서는 10억 위안(1850억 원) 이상 중대 산업 프로젝트 58
중국 상무부가 최근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실제 외자 사용 규모는 1조 1339억1000만 위안(약 210조 9072억 원)으로 전년 대비 8.0% 줄었다. 왕원타오(王文涛) 상무부 부장은 "지난해 중국의 외자 유치가 전년 대비 다소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0년 중국 외자 유치(금융투자 포함)가 처음으로 1조 위안(약 186조 원)을 돌파한 뒤 2021년, 2022년 연이어 안정적인 성장을 달성했다. 지난해 외자 규모는 여전히 1조 위안대 규모를 유지해 사상 세번째로 높은 수준이었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는 최근 보고서를 발표해 실제투자 기준 지난해 전 세계 해외직접투자(FDI)는 18% 감소했으며 그 중 선진 경제체, 개발도상 경제체가 각각 28%, 9%씩 줄었다고 밝혔다. 세계 크로스보더 직접투자가 부진하고 투자 유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투자 유치가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는 건 절대 쉬운 일이 아니라는 평가다. 지난해 외국 투자자가 중국에 투자해 신설된 외자 기업은 5만 3766곳에 달한다. 전년 대비 39.7% 증가한 수치다. 이는 중국 외자 유치 기세가 꺾이지
16일(현지시간) 리창(李强) 중국 총리가 스위스 다보스국제회의센터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연차총회에 참석해 축사를 발표했다. 리창 총리는 축사에서 "중국은 약속을 지키는 나라”라며 “중국 시장을 선택하는 것은 리스크가 아닌 기회"라고 강조했다. 리 총리는 축사를 통해 신뢰 회복, 협력 강화 및 세계 경제 회복 촉진과 관련해 다섯 가지 제안을 했다. 그는 "거시 경제 정책 조정을 강화하고 세계 경제 성장의 시너지를 더욱 잘 모아야 한다"며 "국제 산업 분업과 협력을 강화하고, 무역 및 투자 자유화와 편리화를 추진하며 글로벌 산업 체인 공급망의 안정성과 원활성을 유지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또 "국제과학기술 교류와 협력을 강화해 기술 변혁이 인류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도록 하며, 녹색 발전 협력을 강화하고 기후 변화에 적극 대응하며, 남북 협력과 남남협력을 강화해 보편적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포용적인 세계 경제를 건설하기 위해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리 총리는 이어 "중국의 개방의 문은 점점 커질 수밖에 없다"면서 "중국은 각국 기업이 중국에 투자하는 것을 진심으로 환영하며 시장화·법치화·국제화된 일류의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하기 위
시진핑 중국국가주석이 중국중앙방송총국(CMG)과 인터넷을 통해 신년사를 발표했다. 시 주석은 먼저 2023년 중국이 걸어온 행보와 성과에 대해 언급했다. 시 주석은 “중국 경제는 회복세를 보이며 고품질 발전이 착실하게 추진되고 있다"며 "현대화 산업체계가 완비되고 첨단화∙지능화∙녹색화의 새로운 기둥 산업이 빠른 속도로 성장했다”고 말했다. 또한 “식량생산이 20년 연속 풍작을 거두었으며 향촌 진흥에 새로운 기상이 나타났다”고 회고했다. 이어 “C919 대형 항공기가 상업 비행을 시작하고 중국산 대형 크루즈선이 시험 항행을 완료했으며 선저우(神州) 우주비행선들이 새로운 도전에 연속 성공했다”며 중국의 곳곳에서 날마다 새로운 창조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 전기차와 휴대전화 등 산업 분야에서의 성취와 중국∙중앙아시아 정상회의, 제3회 일대일로 정상 포럼 등 외교적 성과를 과시하기도 했다. 이어 시 주석은 “2024년은 건국 75주년으로 우리는 흔들림 없이 중국식 현대화의 추진, 새로운 발전 이념의 관철, 새로운 발전 구조 구축 가속화와 고품질 발전 추진, 발전과 안보의 통합을 해내야 한다"면서 "경제 회복·호전 태세를 공고화·강화하고, 경제의 안정적이고
내년 경제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중국 중앙경제공작회의가 지난 11~12일 베이징에서 열린 가운데 2024년 중국 당국의 주요 업무 변화에 이목이 쏠린다. 이번 회의에서는 당국은 2024년의 9가지 중점 임무를 제시했다. 그 중 1순위는 ‘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현대 산업 시스템 건설’이다. 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산업 혁신 촉진, 게임 체인저가 될 전복성(顚覆性) 기술과 선진기술로 신산업·신모델·신동력을 생성하고 신품질 생산력 발전을 골자로 한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은 과학기술 혁신 분야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거뒀다. 우선 5G 기술에서 돌파구를 마련해 세계 시장을 선점했다. 중국의 5G 네트워크는 커버리지가 넓고 스마트 교통·스마트 의료·스마트 제조 등 많은 영역에서 널리 응용되고 있다. 또 중국은 인공지능(AI) 개발에서도 NLP(자연언어 처리), ML(기계학습), 컴퓨터 비전 등 분야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 이 기술은 스마트 고객 서비스, 스마트 보안, 자율주행 등 많은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그 외 유인 우주비행, 달 탐사 등 중국의 우주 기술 성과도 유의미했으며, 태양 에너지·풍력 에너지·수력 에너지를 포함한 신에너지 기술에서도 진전을 이뤘다. 해를
시진핑(習近平)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국가주석이 지난 14일 오전(현지시간) 광시(廣西)좡족자치구 난닝(南寧)시 시찰 및 조사연구에 나섰다. 시 주석은 중국-아세안정보항유한회사, 량칭(良慶)구 판룽(蟠龍)단지를 차례로 방문해 중국-아세안(ASEAN) 경제무역 협력 및 정보화 건설 응용, 도시 지역사회 거버넌스 시스템 완비, 민족 단결 업무 강화 등과 관련해 현지 조사연구를 진행했다. 중국 서남부에 위치한 광시는 중국과 아세안 국가 교류 및 협력의 최전방이면서 중요한 창구다. 아세안은 동남아국가연합의 약칭으로 10개 국가가 포함되며 총면적이 약 449만㎢, 인구가 약 6억 6200만 명에 달한다. 중국은 아세안을 주변 외교의 거점이자 일대일로 건설의 중요한 지역으로 간주한다. 올해 1~11월 중국과 아세안 무역 총액은 5조 8000위안으로 중국 대외무역 총액의 15.3%를 차지했다. 양측은 4년 연속 최대 무역 파트너다. 중국과 아세안의 자유무역구 업그레이드 건설과 함께 광시와 아세안 경제무역 교류 및 협력도 긴밀해졌다. 올해 1~7월 아세안에 대한 광시의 수출입 총액은 1880억 8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6% 성장했다. 시 주석은 광시
중국 관영 중앙방송총국(CMG)은 5일 왕원빈 외교부 대변인이 “중국이 또다시 높은 득표로 국제해사기구(IMO) A그룹 이사국으로 당선됐다”며 “이는 글로벌 해사 거버넌스, 해운 지속가능발전 추진에서의 중국의 역할을 국제사회가 충분히 인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지난 1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개최된 IMO 제33차 총회에서 높은 득표로 A그룹 이사국으로 당선됐다. 이는 1989년부터 중국의 18번째 연임이다. 국제해사기구는 해사 안전, 해양환경 보호 등과 관련된 국제규범제·개정과 이행을 촉진하는 유엔 산하 전문기구이며, 이사회는 전반적인 운영을 주도하는 내부 기구다. 이사회는 주요 해운국인 A그룹(10개국), 주요 화주국인 B그룹(10개국), 지역 대표국인 C그룹(20개국) 등으로 구성되는데, 2년마다 전체 회원국의 투표로 선출된다. 이사회 내에서 논의를 주도하는 A그룹 이사국은 해운 분야에 기여도가 높은 국가로, 이사국 선거에 참여한 회원국 절반 이상의 지지를 얻어야 한다. 왕 대변인은 “중국은 국제해사기구의 사업을 매우 중시하고 적극 지지한다”며 “각 회원국과 함께 계속 국제해사기구를 핵심으로하는 다자 해사기본틀을 지지하고 함께 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