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 3900억 위안' 한화로 약 258조 원의 거액이다. 지난 2023년 한 해 광둥성의 재정 수입액이다. 전년보다 4% 이상 늘어난 수치다. 경제 규모가 큰 광둥성이 재정 수입도 가장 많았다. 중국 31개 성(省)급 지역들의 지난해 재정 수입 순위가 공개됐다. 1위는 광둥성으로 2023년 지방 일반 공공예산 수입이 전년 대비 4.3% 증가한 1조 3900억 위안에 달했다. 광둥성이 1991년부터 33년 연속 재정 수입 1위를 차지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광둥성에 위치한 기업들이 자리해 있다. 2023년 광둥성내 사업자 수는 1800만 개가 넘었으며 그 중 기업은 780만 개로 중국 전체의 7분의 1을 차지했다. 중국내 최대 기업 수를 바탕으로 2023년 광둥성의 GDP는 전년 대비 4.8% 증가한 13조 5700억 위안에 도달해 중국 최초로 13조 위안을 돌파했다. 광둥성에 이어 지난해 중국내 재정 수입 2위는 장쑤성이 차지했다. 장쑤성 재무부에 따르면 2023년 장쑤성의 일반 공공예산 수입은 전년 대비 7.3% 증가한 9930억 위안에 달했다. 그 중 세수는 7977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7.3% 증가했는데, 이는 부가가치세가 크게 증가(63.4%)했
중국 본토와 홍콩의 증시에서 최근 3년 간 영국의 연간 GDP 두 배에 해당하는 약 6조 달러(약 7990조 원)이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현지시간) 미국 CNN에 따르면 중국 증시는 가장 최근 최고점에 도달한 2021년 2월 이후로 하락 추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올해 들어와서도 홍콩 항셍지수는 10%, 상하이종합지수와 선전지수는 각각 7%와 10% 하락했다. CNN은 골드만삭스 투자보고서를 인용해 세계 2위 경제 대국인 중국의 증시가 지속적인 하락을 보이는 원인으로 "부동산시장 침체, 디플레이션 우려, 지방정부들의 천문학적인 부채, 출산율 감소, 민간 부문을 동요시키고 외국 기업을 위협하는 이념 중심 정책 등"을 꼽았다. 또 지난해 중국 경제가 5.2% 성장한 것을 두고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을 제외하면 1990년 이후 가장 느린 확장 속도"라며 "국제 경제학자들은 중국의 성장이 더욱 둔화돼 올해 4% 미만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보도했다. 특히 "현재의 경기 침체는 본질적으로 구조적이며 쉽게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중국은 향후 수십 년간 침체가 이어질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중국 당국은 최근 리창(李强) 총리의 증시
에버랜드의 최고 인기스타로 꼽히는 자이언트 판다 푸바오(福宝)가 4월 중국으로 이송된다. 23일 에버랜드는 자사 웹사이트와 SNS 채널 등을 통해 "푸바오가 오는 4월초 중국 쓰촨성에 위치한 자이언트판다보전연구센터로 옮겨져 새로운 출발을 하게 된다"고 공지했다. 또 푸바오의 안전한 이송을 위해 사전 준비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푸바오는 '야생동물에 대한 국제 규정'에 의거해 이동 전 한 달간 판다월드내 별도 공간에서 건강 및 검역 관리를 받게 된다. 푸바오는 2016년 한중 친선 도모의 상징으로 한국에 보내진 자이언트 판다 러바오와 아이바오 사이에서 2020년 7월 20일 태어났으며, 멸종위기종 보전 협약에 따라 만 4세가 되기 전에 중국으로 옮겨지게 됐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푸바오는 출생 때부터 한국 국민들의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으며 양국 우호를 증진하는 데 긍정적 역할을 했다"며 "푸바오가 어디에 있든지 섬세한 보살핌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약 5169억 위안' 한화로 약 96조 원이다. 지난 2023년 중국의 화장품 산업 규모 추산액이다. 전년 대비 6% 이상 성장한 수치다. 지난 2023년 중국 화장품 산업이 내수는 물론 해외 시장에서도 성장세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화장품 굴기'도 거센 것이다. 중국은 그동안 화장품 등 고급 소비재에서는 한국 등 주요 생산국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식이었다. 하지만 중국 화장품 회사들은 처음에는 가성비를 내세워 시장을 장악하고, 이어 품질까지 따라 잡는 방식으로 시장 공세를 거듭해 성과를 내고 있다. 19일 중국 현지 매체 제일재경일보가 '2023년 중국 화장품(스킨케어, 미용제품 포함) 시장 산업 발전 및 소비 통찰' 보고서를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화장품 산업 시장 규모는 약 5169억 위안(약 96조 원)으로 전년 대비 6.4% 증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중국 화장품의 해외 수출, 특히 동남아시아로의 수출이 크게 증가했다. 국가별 중국 화장품 수입액을 보면 태국이 10억 4300만 위안(전년도 4763만 위안), 인도네시아가 1억5000만 위안(전년도 289만 위안), 베트남이 4761만 위안(전년도 742만 위안)을
중국 난카이대(南开大) 중국식현대화발전연구원(中国式现代化发展研究院)이 '중국 거시경제 상황 분석 및 예측 보고서(中国宏观经济形势分析与预测报告)'를 최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의 거시경제는 안정적이고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연구팀은 다양한 모델 설정과 매개변수 조합을 통해 올해 올해 중국의 실질 GDP 성장률은 4.6~5.8%, 실업률은 5.4~5.9%, 물가상승률은 0.1~1.9% 수준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또 중국 당국이 안정적인 경제 성장을 위해 적극적 재정 정책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현재 디플레이션 악순환의 압력이 여전히 매우 뚜렷하다고 보고 있으며 통화 정책이 명백히 제한된다는 조건 하에서 2024년에도 적극적인 재정 정책의 주요 기조는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4분기 국고채 1조 위안 추가 발행 등 적극적인 재정 정책의 결과로 2024년 재정 적자율은 계속해서 3%를 초과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특히 주요 인프라 건설은 주택 가격을 안정시키고 경제가 디플레이션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도시마을 재개발 등 주택가격 안정 정책 등이 도입되면서 고정자산투자 명목 증가율이 2023
그래도 올해는 전년보다는 낫다.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의 전망을 모은 지수다. '2024년 중국 시장 매출 전망 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다. 하지만 중국과 관계 개선이 어떤 형식이든 이뤄지지 않으면 근본적 변화는 있을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산업연구원, 대한상공회의소 북경사무소, 중국한국상회가 공동으로 중국 진출 한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지난해 11월 23일부터 12월 20일까지 진행한 '2024년 중국 시장 매출 전망 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가 17일 발표됐다. 이번 설문 조사에 응답한 7개 업종 217개 업체들은 올해 중국 시장이 작년보다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전체 기업의 2024년도 매출 전망 BSI(121)가 지난 2023년 전망치(102)에 이어 추가 상승하면서 낙관적 기대감을 시사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125)의 매출 전망치가 2년 연속 상승하고, 중소기업(121)도 6년 만에 최고치로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122)에서 추가 상승세를 이어가고, 유통업 역시 기준치를 상회(100→119)했다. 제조업에서는 전기전자(135)와 자동차(135), 금속기계(133) 등 업종에서 100을 상당폭 상회하고, 화학(1
지난 2023년 중국 인구가 14억 967만 명을 기록하며 전년보다 줄었다. 중국 인구가 줄고 있는 것은 벌써 2년째다. 세계 최대 인구 대국의 인구 구조 변화가 본격화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16∼59세 노동연령 인구는 여전히 전체 인구의 60% 이상을 차지했다. 인구 구조가 항아리 모양을 이루면서 소위 인구 고령화 문제는 아직 본격화하지는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2023년 중국 인구 통계 보고서'를 17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기준 중국 본토(홍콩, 마카오, 대만 및 외국인 제외) 인구는 14억 967만 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208만 명 줄어든 수치로 2년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인구 감소는 국가의 잠재성장력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중국 사회의 고령화 속도도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중국 인구의 고질적인 문제인 남녀 성비차 역시 여전히 컸다. 성별로는 남성이 7억 2032만 명, 여성이 6억 8935만 명을 기록했다. 전통적인 남아선호 사상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방증이다. 연령별로는 16∼59세 노동연령 인구가 8억 6481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61.3%(2022년 62.0%)를 차지했다. 6
16일(현지시간) 리창(李强) 중국 총리가 스위스 다보스국제회의센터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연차총회에 참석해 축사를 발표했다. 리창 총리는 축사에서 "중국은 약속을 지키는 나라”라며 “중국 시장을 선택하는 것은 리스크가 아닌 기회"라고 강조했다. 리 총리는 축사를 통해 신뢰 회복, 협력 강화 및 세계 경제 회복 촉진과 관련해 다섯 가지 제안을 했다. 그는 "거시 경제 정책 조정을 강화하고 세계 경제 성장의 시너지를 더욱 잘 모아야 한다"며 "국제 산업 분업과 협력을 강화하고, 무역 및 투자 자유화와 편리화를 추진하며 글로벌 산업 체인 공급망의 안정성과 원활성을 유지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또 "국제과학기술 교류와 협력을 강화해 기술 변혁이 인류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도록 하며, 녹색 발전 협력을 강화하고 기후 변화에 적극 대응하며, 남북 협력과 남남협력을 강화해 보편적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포용적인 세계 경제를 건설하기 위해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리 총리는 이어 "중국의 개방의 문은 점점 커질 수밖에 없다"면서 "중국은 각국 기업이 중국에 투자하는 것을 진심으로 환영하며 시장화·법치화·국제화된 일류의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하기 위
'세계 1위' 중국 조선업이 지난 2023년 글로벌 시장 점유율에서 조선 강국 한국을 제치고 세계 1위 자리를 꿰찼다. 조선업은 고용이 많아 한 나라의 산업에 후방효과가 큰 산업이다. 무엇보다 수주 단위가 조단위로 커 한 번 수주로 수년간 수백명의 고용을 창출할 수 있다. 중국이 세계 조선시장 1위에 등극한 것은 물론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전년 역시 1위였다. 다만 한국에 비해 부가가치가 떨어진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평이다. 즉 배 한 척을 만들어 얻는 수익이 적다는 의미다. 하지만 1위 자리를 꾸준히 유지한다는 것은 중국의 조선 능력이 꾸준히 인정받고 있다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중국 조선업이 지난해 3대 평가 지표에서 세계 1위 자리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조선공업협회(中国船舶工业行业协会) 연례 업무회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조선업은 신규 선박 수주량, 선박 건조량, 보유 수주량 등 3개 부문에서 모두 세계 1위 자리를 지켰다. 지난해 중국의 신규 선박 수주량은 7120만 DWT(재화중량톤수 : 선박 무게를 제외한 화물 선적 용량) 2022년 대비 56.4% 증가했다. 또 선박 건조량은 4232만 DWT로 전
2025년 2월 28일 중국 하얼빈에서 개막하는 '제9회 동계아시안게임'의 슬로건, 엠블럼, 마스코트가 11일 공개됐다.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슬로건은 '겨울의 꿈, 아시아의 사랑(Dream of Winter, Love among Asia <冰雪同梦,亚洲同心>)'으로 결정됐다. 해당 슬로건은 하얼빈과 동계올림픽을 상징하는 '빙설(氷雪)'을 토대로 아시아 국가간 교류 협력과 경제 발전을 촉진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또 엠블럼은 ;초월(Beyond)'의 의미를 지니며 칭화대 예술디자인 아카데미팀이 제작했다. 해당 디자인은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의 질주 자세와 라일락꽃(하얼빈의 시화) 및 아시아올림픽위원회 심벌 등의 요소를 결합해 탄생됐다. 목표에 끊임없이 도전해 아시아 동계 스포츠에 새로운 기여를 하겠다는 중국의 의지를 담았다. 대회 마스코트인 백두산호랑이(중국명 동북호랑이, 東北虎) 빈빈(滨滨)과 니니(妮妮)는 칭화대 예술디자인 아카데미팀이 지난해 9월 헤이룽장성 동북호랑이공원에서 태어난 동북호랑이 두 마리를 모티브로 제작했다. 해당 마스코트에는 동북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자연유산을 의인화해 '하얼빈은 여러분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