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비야디의 승리!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다시 중국 토종 브랜드인 비야디가 1위를 차지했다. 1~2월에는 일본 브랜드들이 강세였으나 3월에는 전반적인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중국에서 일본 자동차 브랜드들은 꾸준한 명성을 쌓으며 성장해왔다. 한국의 현대차가 급성장을 할 때도 일본 차들은 급성장 대신 안정적 성장을 추구했다. 결과적으로 일본차들은 지금도 성장세이지만, 현대차는 이제는 그 브랜드조차 찾아보기 힘들게 됐다. 중국승용차시장정보연합회(乘联会, CPCA)가 9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3월 중국내 승용차 시장 판매량은 168만 7000대로 전년 동월 대비 6% 증가했다. 1~3월 누적 판매량은 총 482만 9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13.1% 증가했다. 중국 로컬 브랜드는 3월에 93만 대의 차량을 판매하여 전년 동월 대비 19% 증가했다. 1~3월 로컬 브랜드의 누적 점유율은 55%로 전년 동기 대비 5.4% 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중국-해외 합작 브랜드의 매출은 2월에 이어 하락세를 이어갔고 시장 점유율도 더 줄어들었다. 3월 주요 합작 브랜드의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8% 감소한 50만 대를 기록했다. 그 중 독일 브랜드의 소매판매 비중은 20.4
중국 정부가 유럽연합의 중국 신에너지 기술 관련 기업에 대한 견제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10일 마오닝(毛寧)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기자회견에서 "유럽연합의 보호무역주의가 고조되는 경향을 우려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중국은 유럽연합이 중국 기업, 심지어 산업계에 대해 취하는 차별적 조치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럽연합은 최근 풍력발전기부터 전기차까지 유럽에 진출한 중국의 신에너지 기술 관련 기업에 대한 견제를 강화하고 나섰다. 마르그레테 베스타게르 유럽연합 경쟁담당 수석 부집행위원장은 9일(현지시간) "스페인, 그리스, 프랑스, 루마니아, 불가리아 풍력발전단지의 중국 풍력터빈 공급업체에 대해 EU 역외보조금 규정(FSR) 관련 새로운 조사에 착수한다"고 발표했다. FSR은 제3국에서 과도한 보조금을 받아 제품 단가를 낮춘 외국 기업이 유럽연합내에서 기업결합이나 공공입찰에 참여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법이다. 조사를 벌여 공정경쟁을 해치는 수준의 보조금을 받았다고 판단되면 유럽연합내 기업결합 및 공공입찰 참여를 불허할 수도 있다. AFP 등 외신에 따르면 베스타게르 수석 부집행위원장의 이번 발표는 중국 풍력발전 업체들이 중국 정부
'10만번째 전기자동차' 중국 전기차들이 가성비를 앞세워 세계 공략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 본사를 둔 둥펑자동차(东风汽车公司)가 프리미엄 전기차 모델 란투(岚图)의 10만번째 생산을 발표했다. 중국 '전기차 굴기'의 상징적인 숫자다. 9일 둥펑자동차는 공식 웹사이트에 우한경제개발구에 위치한 란투자동차 공장의 생산 라인에서 조립되는 10만번째 란투를 공개했다. 란투는 둥펑자동차 최초의 고급 신에너지 자동차 브랜드일 뿐만 아니라 글로벌 신에너지차 트렌드를 주도하기 위한 후베이성 자동차 산업의 상징으로 꼽힌다. 후베이성은 2025년까지 성내 전체 자동차 생산량 중 신에너지 자동차의 점유율을 40% 이상, 금액으로는 3500억 위안(약 65조 원) 이상으로 높인다는 계획이다. 둥펑자동차는 지난 2020년 7월 29일 란투를 출시했으며 지난해 4월까지 'SUV + MPV + 세단'의 3개 카테고리 레이아웃을 완료했다. 루팡(卢放) 란투자동차 CEO는 "지난해 란투는 전년 대비 160% 증가한 5만 대 이상의 차량을 판매했으며 오늘 조립 라인에서 생산된 10만번째 차량은 연간 판매 목표인 10만 대를 향한 질주의 시작"이라고 밝혔다. 올해 1월부
중국민간항공국(中国民用航空局)이 드론 제조업체 이항(亿航智能)에 'EH216-S' 생산 라이센스를 발급했다. 중국 최초로 드론 택시가 상용화된 것이다. 드론을 이용한 이동수단은 미국 등의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상용화 단계에 들어선 상태다. 하지만 아직 대량생산의 단계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번 중국 업체의 생산 등록으로 드론 택시의 상용화가 가능해질지 주목된다. 8일 중국 현지 매체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중국민간항공국의 'EH216-S' 생산 라이센스 발급은 글로벌 eVTOL(전기 수직 이륙 및 착륙 항공기) 업계 최초의 생산 라이센스다. EH216-S는 이항이 중국민간항공국으로부터 형식 인증서를 획득한 최초의 eVTOL 항공기이자 세계 최초의 드론 택시 모델이다. 전기 모터 및 프로펠러가 각각 16개로 승객 2명 또는 260㎏의 화물을 싣고 최고 시속 130㎞로 약 25분 동안 비행할 수 있다. 향후 무인 조종 시스템이 적용될 새 형태의 교통수단으로 저소음, 무공해, 고효율의 장점을 갖고 있다. 특히 수직 이착륙이 가능해 활주로가 필요 없다. 후화즈(胡华智) 이항 회장은 이번 라이센스 발급은 EH216-S 제품이 대규모 생산 단계에 진입하는 중요한 이정표
중국 국가외환관리국은 3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이 3조 2457억 달러로 전월 대비 198억 달러(0.62%) 늘었다고 7일 발표했다. 국가외환관리국은 3월 주요국의 거시경제지표, 통화정책 기대감 등의 영향으로 미국 달러지수와 글로벌 금융자산 가격이 상승하면서 환율환산, 자산가격 변동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외환보유액 규모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 3월 말 기준 중국의 금 보유량은 7274만 온스(31.1g)로 전월 대비 16만 온스가 증가해 17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인민은행의 금 매수 행진은 2019년 9월에 종료된 당시 10개월간의 매수 이후 가장 긴 기간이다. 중국이 이처럼 금에 대한 대량 매수에 나선 것은 미 달러화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전 세계적인 움직임과 관련이 있다. 특히 중국은 외환보유액 가운데 금 보유 비중이 다른 주요국과 비교하면 낮은 편이어서 앞으로도 인민은행의 금 매수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7일 중국중앙TV(CCTV)에 따르면 최근 글로벌 금 가격 상승의 주된 이유는 3월 이후 미국 연준(Fed)의 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 기대가 계속 강화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또 글로벌 지정학적 요인으로 인한 헤징 수요
'18만1585대' 중국 체리자동차(奇瑞汽车)의 지난 3월 한달간의 판매량이다. 전년 동기대비 증가폭이 50%에 육박한다. 중국 자동차 굴기가 무섭다. 전기차를 중심으로 빠르게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로 위상을 갖춰가고 있다. 체리자동차의 1분기 수출 증가폭도 40%를 넘어섰다. 중국 체리자동차(奇瑞汽车)의 모기업인 체리홀딩스그룹이 3월 매출 보고서를 4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체리자동차는 3월에 전년 동월 대비 45.3% 증가한 총 18만 1585대의 차량을 판매했다. 1분기 전체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60.3% 증가한 52만 9604대, 수출량은 40.9% 증가한 25만 3418대를 기록했다. 3월 판매량을 차량 모델별로 살펴보면 '체리(奇瑞)' 브랜드가 11만 6927대로 전년 동기 대비 40.7% 증가했으며, 'Jietu(捷途)' 브랜드는 3만 5503대로 82% 증가했다. 또 'Xingtu(星途)' 브랜드는 6653대, 3월에 첫 선을 보인 'iCAR' 브랜드는 5487대가 각각 판매됐다. 1분기 누적 판매량을 모델별로 살펴보면 '체리(奇瑞)' 브랜드는 35만 314대로 전년 동기 대비 57.6% 증가했으며, 'Jietu(捷途)' 브랜드는 1
3일 6000여 명 팬들의 눈물 배웅을 뒤로 하고 에버랜드를 떠난 자이언트 판다 '푸바오(福宝)'가 중국 측이 마련한 쓰촨항공 전세기를 타고 당일 저녁 쓰촨성 청두 솽류국제공항에 도착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 중국중앙TV(CCTV) 등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청두에 도착한 푸바오의 건강 상태는 양호하며 쓰촨성 원촨현 워룽(臥龍)에 위치한 중국 자이언트 판다 가든 선수핑(神樹坪) 기지로 보내져 한 달간 검역을 위해 격리될 예정이다. 선수핑 기지 측은 "격리 기간 동안 푸바오의 식단과 일상 생활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중국 자이언트 판다 보존연구센터는 경험이 풍부한 두 명의 사육사를 포함한 관리팀을 구성했다"고 밝혔다. 또 "자이언트 판다의 발정기는 주로 봄인데 현재 관점에서 볼 때 푸바오는 발정 징후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며 "푸바오의 결혼은 내년까지 기다려야 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중국 웨이보(微博)에는 '푸바오 귀국 환영', '푸바오 귀국 생중계' 등 푸바오 중국 도착과 관련된 키워드가 인기 검색어 상위권에 오르기도 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자이언트 판다는 희귀 별종 위기 야생동물이자 중국 인민의 우의를
'2024년 청두세계원예박람회(成都世界园艺博览会)'가 오는 26일 중국 쓰촨성 성도 청두에서 개막해 10월 28일까지 열린다. 청두원예박람회는 국제원예생산자협회(AIPH)의 승인을 받아 중국 국가임업초원국과 중국화훼협회가 주최하고 쓰촨성 산하 화훼협회가 주최한다. 청두시인민정부는 "이번 박람회는 청두 유니버시아드 대회 이후 또 하나의 주요 국제행사로 아름다운 중국의 새로운 모습과 공원도시의 새로운 성과를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기회"라고 밝혔다. 늦은 봄부터 초가을까지 186일 동안 개최되는 청두원예박람회는 청두 주변 도시의 독특한 꽃과 식물은 물론 조경 및 원예 제품을 전시하는 데 중점을 둘 예정이다. 박람회 전시장은 메인 전시장(청두 동부 신구)과 4개의 하위 테마 전시장(원강 사천식 분재, 피두 꽃 산업, 신진 현대 농업학, 충라이 생물 다양성 보호)으로 구성된다. 청두시인민정부는 세계 각지의 이국적인 꽃과 아름다운 정원을 선사하는 국내외 113개 전시원을 감상하며 독특한 지역적 매력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약 280m에 달하는 산수화 폭포, 환상적인 야간 경관조명의 판타지 월드, 노래하는 세계 정원 등을 대표적인 볼거리고 꼽았다. 4개
'1만 323위안' 한화로 약 192만 원이다. 지난 1분기 중국 38개 주요 도시 기업들의 월평균 급여다. 중국의 대표적인 구인구직 업체인 즈롄자오핀(智联招聘)이 1분기 '중국기업 채용급여 보고서(中国企业招聘薪酬报告)'를 1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38개 주요 도시 기업들의 올해 1분기 월평균 급여는 1만 323위안(약 192만 원)으로 집계됐다. 즈롄자오핀이 모니터링하는 38개 도시 중 상하이(1만 3617위안), 베이징(1만 3316위안), 선전(1만 2751위안)의 월평균 채용 급여는 지난해에 이어 1분기에도 선두권을 유지했다. 1분기에 급여 수준이 가장 많이 증가한 부문은 엔터테인먼트 및 레저, 의료 및 미용 등 서비스 업종으로 나타났다. 1분기 오락/스포츠/레저, 의료/간호/미용/건강/보건 서비스 업종의 월평균 채용 급여은 각각 9448위안, 9713위안으로 순위가 7계단씩 상승했다. 전년 동기 대비 채용 인건비 증가율이 가장 높은 부문은 호텔·외식업으로 3분기 연속 성장세를 유지하며 1분기 성장률 10.6%를 기록했다. 이어 관광·휴가업이 채용 급여 증가율 9.3% 증가해 2위를 기록했다. 중국의 급여는 역사적으로 편차가 크다. 중국
외국인과 외자 기업에 9가지 언어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국 베이징 국제 버전 포털사이트가 최근 정식 오픈했다. 해당 사이트는 베이징의 국제 교류센터 기능 구축을 중심으로 정보 공개와 공공서비스, 자문과 교류를 통합해 영어, 한국어, 일본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아랍어와 포르투갈어 등 총 9개 언어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밖에도 외국인과 외국 투자자들에게 투자, 여행, 학습, 생활, 소비 등 분야에서 쾌적하고 풍부한 도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례로 사이트 내 '행사 캘린더' 섹션에는 전시회, 공연, 스포츠, 소비, 관광, 명절, 포럼, 투자와 생활 꿀팁 등 정보가 담겨 있다. '나의 베이징 스토리' 섹션에션 외자 기업의 발전사, 기업가의 성장 스토리, 베이징에서 생활하면서 공부하고 일하며 관광하는 외국인의 이야기까지 매력적이고 활기찬 도시 베이징에서의 잊지 못할 추억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베이징의 경영 환경과 '국가 서비스업 개방 확대 시범구', '중국(베이징) 자유무역시험구' 건설, 징진지(京津冀: 베이징, 톈진, 허베이) 협동 발전 등 내용을 중심으로 경제발전, 중점산업, 산업단지 관련 정보를 담았다. 베이징의 골든 명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