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는 총 337개의 주요 도시들이 있다. 이들 도시들은 대부분 각 성의 경제와 정치의 중심지들이다. 일단 중국 당국이 직접 관리하는 수도와 직할시들이 정치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하며, 각 성에서 직접 관리하는 도시들이 지역 정치와 경제에서 중요하다. 중국 도시경제 연구소인 신일선도시연구소(新一线城市研究所)가 이들 중국 각 도시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초로 다양한 지표를 비교해 '2024 신일선도시 매력 순위(2024新一线城市魅力排行榜)'를 30일 발표했다. 신일선도시연구소는 200여개 브랜드, 15개 온라인 기업, 빅데이터 기관의 자료 등을 활용하여 중국내 현급 이상 도시 337개에 대한 매력도를 평가했다. 일선도시(상하이, 베이징, 선전, 광저우) 이외 신일선도시를 평가한 매력도 상위 15개 도시는 다음과 같다. 1위 청두 2위 항저우 3위 충칭 4위 항저우 5위 우한 6위 시안 7위 난징 8위 창사 9위 톈진 10위 정저우 11위 둥관 12위 우시 13위 닝보 14위 칭다오 15위 허페이 이번 순위 평가에는 상업자원 집적도, 허브 도시 기능, 주민 활동, 신경제 경쟁력, 미래 변화 가능성 등 5개 부문이 1차 평가 지표로 활용됐다. 이를 다시 세분화하면 상업
최근 중국의 한 누리꾼이 시안의 스타벅스에서 직원이 이제 막 자리를 잡은 한 남성 손님에게 “나가달라”고 말하는 장면을 촬영해 온라인에 게재했다. 손님이 "자리에 앉으면 안 된다는 건가요?"라고 묻자 직원은 "자리에 앉으시려면 주문하시고 아니면 쇼핑몰에 가서 앉으세요"라고 답한다. 결국 이 손님은 매장을 떠났다. 중국 네티즌들의 반응은 어떨까? 묘한 게 스타벅스를 비난하는 이들도 있었지만, 반대로 옹호하는 이들도 많았다. 동영상을 게시한 누리꾼은 이 손님이 앉자마자 1분도 채 안되어 쫓겨나갔다며 당시 매장에 사람이 많지 않은데 왜 못 앉게 하는지 이유를 모르겠다고 스타벅스 직원을 비난했다. 하지만 매장의 입장을 이해하는 댓글도 많았다. “주문을 하지도 않으면서 하루 종일 앉아 있으면서 다른 사람의 자리를 빼앗는 행위는 근절해야 한다” “주문도 안하는데 무슨 염치로 앉아있는가” 등의 반응이 나왔다. 이러한 반응을 보면 기본적인 상도덕에 대해서 사람들이 잘 이해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즉 소비를 해야 누릴 수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매장에서는 이러한 이익을 포기하고 일부 누리꾼이 말한대로 훗날을 대비해 의자를 많이 준비하고 마음대로 앉으라고 하는 경우도
중국의 옛말 중에 "사람은 높은 곳으로 향한다(人往高处走)"라는 말이 있다. 다른 도시로 일자리를 찾고자 떠나는 사람들의 수치를 보면 옛말 그른 것 하나 없다는 진리가 떠오른다. 그렇다면 어떤 인재가 다른 도시로 취업을 위해 떠날까? 어느 도시를 인재들이 가장 선호할까? 사실 인재들이 모여든 곳이 바로 가장 높은 곳이요, 가장 발전한, 그 가능성이 가장 큰 도시인 것이다. 결국 인재들이 모여드는 도시를 안다는 것은 중국에서 가장 발전하는 도시가 어디인지를 아는 것과 다르지 않는 것이다. 역시 1위는 베이징, 2위는 상하이였다. 전자는 정치의 수도요, 후자는 경제의 수도다. 3위는 중국 IT, 바이오 산업의 중심인 선전이었다. 간단히 정치, 경제 금융의 수도이거나, IT산업의 중심지에 중국 인재들이 모이고 있는 것이다. 지난 29일 중국 현지 채용 사이트가 발표한 ‘중국 도시별 인재 유치 역량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베이징 2위 상하이 3위 선전 4위 광저우 5위 항저우 6위 청두 7위 난징 8위 쑤저우 9위 우한 10위 우시 이번 순위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개혁개방의 창구인 광둥성으로, 광저우와 선전이 성공적으로 인재를 유치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상승하
물류는 가장 빠르게 한나라의 경제 활성도를 짐작케하는 지표다. 물동량이 많을수록 개인과 개인, 회사와 회사, 회사와 소비자들 간에 교류가 많다는 뜻이고, 그만큼의 부가가치들이 만들어지고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부가가치의 창출이다. 어떤 부가가치를 얼마나 창출하느냐에 따라 한나라 경제의 미래가 좌우되는 것이다. 중국에서 이 물류 산업은 가장 성장세가 빠른 산업 가운데 하나다. 중국물류구매연합회(中国物流与采购联合会)가 29일 올해 1월부터 4월까지의 물류운영 실적을 발표했다. 중국 당국의 거시경제 정책의 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면서 경기가 지속적으로 반등 및 개선돼 사회물류 총량 성장률이 가속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월 중국 사회물류 총액은 111조 9000억 위안(약 2경 1275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했고, 성장률은 올해 1분기보다 0.2%포인트 빨랐다. 4월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6.6%로 3월보다 2.2%포인트 증가했다. 중국물류정보센터는 1~4월 사회물류 총량이 이전 회복 추세가 이어져 기반이 더욱 공고해졌다고 밝혔다. 특히 산업 부문에서의 물류 수요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뚜렷하다고 설명했다
유니콘 기업은 기업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인 비상장기업을 일컫는 말이다. 스타트업이 상장 전에 기업 가치 10억 달러 이상으로 성장하는 것은 상상 속에서나 존재하는 동물인 유니콘과 같이 희귀하다해서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 유니콘 기업 용어는 지난 2013년 벤처 투자자인 에일린 리가 처음 사용했다. 최근에는 기업가치가 100억 달러 이상의 스타트업을 데카콘(decacorn), 기업가치가 1000억 달러 이상인 스타트업은 헥토콘(hectorcorn)이라고도 한다. 최근 미국 못지 않게 이 같은 유니콘들이 많이 등장한 게 바로 중국이다. '중국 수석 이코노미스트 포럼(中国首席经济学家论坛', '증권스타(证券之星)', '화푸 캐피탈(华复资本)'이 공동으로 '2024년 중국 유니콘 기업 Top 100'을 발표했다. 상위 10개 유니콘 기업은 다음과 같다. 1위 아이보어 바이오 2위 아이비 스마트 3위 안마이 바이오 4위 본위엔양자 5위 비커동력 6위 비런 테크놀로지 7위 보어타이 카네트워크 8위 청즈자동화 9위 다다로봇 10위 지평선로봇 이번에 발표된 순위를 보면 바이오, AI(인공지능), 로봇 등 신산업 부문 기업들이 대부분 상위권에 위치해 중국 경제의 고품질 발
서울대에서 제2의 N번방 사건이 터졌다. 현재 기준 피해 여성은 61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가운데 서울대 재학생 및 졸업생은 12명이다. 최근 과거 N번방의 사건을 재조명한 영국 BBC프로그램이 방영돼 글로벌 사회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만큼 글로벌 사회의 관심을 끈 것이 한국의 인터넷 성착취 범죄다. 그와 유사한 사건이 서울대에서 벌어졌다고 하니, 자연히 뜨거운 관심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중국 네티즌들은 호기심반, 우려반의 시선으로 한국에서 벌어진 사건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나섰다. 일단 범죄행위가 중국에 수입되는 것을 크게 우려하는 모습이다.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지난 21일 이번 사건의 혐의자 5명을 체포하였으며 그 가운데 주범으로 지목된 2명은 서울대 졸업생으로 밝혀졌다. 이들은 지난 2021년 7월부터 올해 4월까지 메신저 어플인 텔레그램에서 딥페이크 기술로 얼굴을 합성하여 음란 사진, 영상을 제작하고 유포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이미 지난 11일 주범으로 지목된 서울대 졸업생 박모씨(40)를 체포하였는데, 박씨는 1852장에 달하는 얼굴을 합성한 음란한 사진과 동영상을 제작하여 온라인 사이트 곳곳에 뿌린 것으로 나타났다
한 도시의 경제력을 보여주는 다양한 지표가 있다. 그 중에서도 수출입 규모는 한 도시의 경제적 국제성을 보여주는 지표다. 가장 확실한 부가가치 확인 수단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한국의 경제규모가 성장했다고 해도 원 달러 환율이 올라 차이가 벌어졌다고 한다면 그 차이만큼의 부가가치는 사실상 거품인 셈이다. 반면 물건을 해외에 팔아 외국의 돈을 가져왔다면, 그만큼의 부가가치를 확보했다는 것이다. 그럼 중국에서 가장 수출입 규모가 큰 도시는 어딜까? 경제의 수도라는 상하이? 아니다. 중국 최고의 IT 도시 선전이 차지했다. 올해 1~4월 중국 도시별 수출 순위가 최근 발표됐다. 상위 10대 무역 도시의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선전 2위 상하이 3위 쑤저우 4위 닝보 5위 둥관 6위 금화 7위 광저우 8위 베이징 9위 항저우 10위 칭다오 중국 해관총서(세관)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까지 무역 규모 1위는 광둥성 선전이 차지했다. 선전의 1~4월 수출입 총액은 1조 41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8% 증가했다. 그 중 수출은 8933억 2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9% 증가했고, 수입은 5172억 6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4
중국의 졸업 시즌이 다가오면서 많은 대학원생(석사, 박사 과정)들이 논문 작성은 물론 논문을 게재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지는 다양한 학자들이 모여 자신들의 전공 분야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서 만든 잡지다. 대체로 새로운 연구 발표 논문을 게재해주는 것으로 경비를 충당한다. 최근 중국에서 학력 인플레이션이 심해지면서 이 학술지 시장이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6일 중국중앙TV(CCTV)에 따르면 최근 10년 간 대학원생 수가 급증한 반면 학술지 수는 거의 그대로여서 논문을 게재할 수 있는 기회가 갈수록 줄어드는 양상이다. '2022년 전국 교육 사업 발전 통계 공보'에 따르면 중국 대학원의 석사, 박사 과정 재학생은 총 365만 3600명에 달한 반면 전문적인 학술지는 매우 부족해 수급 불균형 문제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상황을 악용해 대학원생들을 상대로 사기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도 비일비재한 것으로 드러났다. 사실 학술지 게재 자체가 학위 획득의 한 과정으로 채택되면서 한국에서도 학술지 경영 방식에 각종 부조리가 끼어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이다. 한국과 중국이 질적인 차이는 있어도 문제에서는
사회가 IT화 하면서 통신 서비스는 한 나라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서비스가 되고 있다. 모든 게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사회는 다름 아닌 통신서비스의 품질이 결정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현재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을 갖춘 통신사는 어느 나라, 어느 회사일까? 최근 평가 결과 중국 차이나모바일(中国移动)이 세계 1위로 꼽혔다. 한국의 SKT도 글로벌 순위 3위에 꼽혔다. 사실 SKT가 글로벌 1위에 올라도 이상할 게 없지만, 한국 정부가 통신사의 수익을 제한하고 나서면서 아무래도 개발 투자폭이 줄어든 게 영향을 받은 게 아닌가 싶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영국 시장조사기관 옴디아(Omdia)가 전 세계 대표적인 이동통신 사업자 12곳의 평가 결가를 최근 발표했다. 이번 평가는 기존 이동통신 서비스 이외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테크기업으로 전환하려는 12개 글로벌 통신사들의 노력을 10개 부문에 걸쳐 평가해 순위를 매겼다. 1위 차이나모바일 2위 NTT 3위 SK Telecom 4위 Telefónica 5위 Vodafone 6위 e& 7위 AT&T 8위 Reliance Jio 9위 Orange 10위 Deutsche Telekom 11
제6회 중국서부국제투자무역상담회(WCIFIT, Western China International Fair for Investment and Trade)가 23일 쓰촨성 충칭에서 공식 개막했다. 이날 개막식 행사에는 세계 25개국 39개 지역의 대표단과 함께 아마존, 퀄컴, 월마트, 컨티넨탈 AG 등 958개 기업이 참석했다. "새로운 서부 중국, 신개념 제조, 새로운 서비스(New Western China, New Manufacturing, New Services)"를 주제로 26일까지 열리는 이번 박람회는 최신 생산 서비스를 조명하며 주제별 활동과 전시회를 진행한다. 올해 박람회 주빈국인 벨로루시의 알리아크산드르 집행위원장은 개막식 연설에서 "서부 중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박람회에 처음으로 주빈국으로 참여하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한다“며 ”이번 박람회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벨로루시와 중국 서부지역의 협업 가능성을 최대한 확보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개막식에 이어 제조 분야에서 124개, 최신 서비스 분야에서 58개 등 196건의 프로젝트가 체결됐다. 러시아, 스페인, 일본 등 해외로부터의 투자 프로젝트는 총 12개, 267억 위안에 달했다. 쓰촨성 성도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