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사우디와 에너지 협력 강화 합의

 

글로벌 인플레이션 위기 상황이 지속하면서 이제는 글로벌 스테그플레이션 위기로까지 번지자 탈 미국 움직임도 가시화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미국의 압박을 받고 있는 중국이 있다. 중국은 그동안 경제 세계화의 꼭지점에 있는 미국 중심의 글로벌 삼각형 구도를 허물고자 한다. 스스로가 대안이 되고자 하면서 기존 공급망 구조에 익숙한 각국이 반발하자, 기존 공급망 구조 위기시 대안 역할을 할 자체적인 공급망 구조를 구축하려 하고 있다. 

중국이 노력하는 대표적인 부분이 원유의 위안화 거래다. 현재 중동 오일이 바로 달러다. 오일이 달러로만 거래되기 때문이다. 

중국은 사우디의 최대 석유 수입국이다. 독일 싱크탱크인 메르카토르 중국학연구소(MERICS)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은 사우디 원유 수출의 27%를 차지했다.

또한 푸단대 보고서에 따르면 사우디는 올해 상반기 55억 달러(약 7조8600억 원)를 유치해 일대일로(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투자의 최대 수혜국이 됐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중국과 사우디가 에너지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26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사우디 에너지 장관인 압둘라지즈 빈 살만 왕자와 중국 장젠화 국가에너지국장은 지난 21일 화상 회담을 통해 이같이 합의했다고 사우디 정부가 밝혔다.

양측은 회담에서 사우디에 중국 제조업체들을 위한 '지역 허브' 구축을 통해 에너지 공급망에서의 협력을 심화하는 데 합의했다.  

SCMP는 해당 회담 후 사우디가 미국과의 관계 재조정을 위해 중국과의 관계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며 일부 관측통들은 사우디가 중국과 에너지 회담을 한 것은 사우디에는 다른 파트너도 있음을 미국에 알리는 것이라고 봤다"고 전했다.

앞서 사우디를 중심으로 한 OPEC과 러시아 등 비(非)OPEC 산유국 협의체인 'OPEC 플러스'(OPEC+)는 지난 5일 성명에서 11월부터 원유 생산량을 하루 200만 배럴 줄이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는 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 이후 최대 감산 폭이다.

미국은 국제유가를 끌어올려 세계적 인플레와 경제난을 심화하고,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전쟁자금 확보를 도울 것이라며 감산을 만류했지만 설득에 실패했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