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애국주의 영화 '만리귀도', 중국 국경절 연휴에 흥행 돌풍

 

신중국 건국 기념일인 국경절(10월 1일) 연휴를 겨냥, 지난달 30일 개봉한 영화 '만리귀도'(萬里歸途)가 흥행 돌풍을 이어가고 있다.

이 영화는 2011년 아프리카 리비아 내전 당시 현지 중국 외교관들이 자국 교민들을 철수시킨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됐다.

라오샤오즈 감독이 메가폰을 잡고 장이와 중국 아이돌그룹 TF보이즈의 멤버 왕쥔카이, 인타오가 주연을 맡아 내전 상황에서 중국인들을 구해내는 외교관들의 활약상을 그려냈다.

애국주의 영화로 분류되는 ‘만리귀도’는 개봉 나흘 만에 7억3000만 위안(약 1500억 원)의 흥행수입을 올려 이 기간 중국 전체 박스오피스의 70%를 차지했다.

중국 관영 매체들도 시진핑 국가주석의 3연임을 결정지을 중국 공산당 20차 전국대표대회를 앞두고 '만리귀도' 띄우기에 나섰다.

글로벌타임스는 5일 "만리귀도가 국경절 연휴에 흥행을 주도하고 있다"며 "격동의 시기에 국가적 자부심과 자신감을 고취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국경절에는 항미원조(抗美援朝, 한국전쟁의 중국식 표현)를 다룬 애국주의 영화 '장진호'가 개봉돼 57억7000만 위안(약 1조4000억 원)의 흥행 수입을 기록, 역대 중국 영화 흥행 1위에 올랐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