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거침없이 달리는 빙상위의 레이스 - 스피드 스케이팅

 

스피드 스케이팅은 400미터 길이의 빙상 트랙에서 각자의 레인에서 얼음 위를 달려 속도로 승부를 겨루는 빙상경기의 종목이다

동계스케이팅의 역사는 석기시대에 동물 뼈를 이용한 것부터 시작되었다. 오늘날 스케이트 모습에 가까운 형태인 나무 바닥과 쇠날을 결합해 달리기 시작한 것은 13세기 네덜란드에서 부터였다. 1676년 네덜란드에서 경주가 벌어지고 있었고, 국제스케이팅연맹(ISU)가 1892년 7월 네덜란드의 주도로 창설된다. 이후 1924년 1회 동계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스피드스케이팅은 2명의 선수가 한 조를 이루어 각자의 레인에서 스케이팅을 한다.(더블트랙) 승패의 결정은 모든 조의 경주가 끝난 후, 기록이 가장 빠른 선수가 우승하게 된다.(타임레이스) 2명의 선수에게 공평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교차지점에서 두 선수는 서로의 레인을 교체하며 스케이팅을 한다.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는 선수가 활주를 하는데 있어 어떠한 제약도 받지 않으며 오직 자신의 스케이팅만으로 진검승부를 펼치는 종목이다.

동계올림픽에서 오랫동안 우리나라에서 메달 획득 종목은 쇼트트랙이 유일했으나 2006년 토리노동계올림픽에서 이강석 선수가 동메달 획득으로 우리나라 스피드 스케이팅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후2010년 벤쿠버동계올림픽에서 최초로 이상화, 모태범 선수의 500m남녀 동반 우승과 이승훈 선수의 5000m은메달, 10,000m우승으로 빙상강국을 이루었다.

 

2014소치동계올림픽에서는 아쉽게도 많은 기대주들이 메달을 획득하지 못해 아쉬움을 남겼다. 하지만 ‘빙상의 우사인 볼트’라 불리우는 이상화 선수가500m경기에서 37.28초로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글 = 윤진희 출처 =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