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강원FC와 평창알펜시아축구장

 

 

 


 

 드디어 수도권을 벗어났다. 강원도다. 산 높고, 물 맑기로 유명한 고장이다. 바다와 산을 같이 즐길 수 있는 세계 몇 안되는 관광지다. 본래 한국에서는 강원도 하면 감자다. 산이 많은 강원도에서는 감자는 대표적인 구황식물이었다. ‘강원도의 힘은 감자!’라는 말이 있을 정도다.

 이 감자의 힘을 이어 받은 구단이 바로 강원FC다. 강원도를 연고지로 하고 있다. 둥지는 평창알펜시아 축구장이다. 바로 2018 년 동계올림픽이 예정된 곳이다. “좋겠다”하고 싶겠지만 오판이다. 동계올림픽에 밀려 정작 축구팀은 제대로 대접을 받지 못하고 있다. 본래 강원FC는 올해만 평창알펜시아 축구장을 쓰고, 본래 홈구장인 강릉종합운동장으로 돌아가려 했으나, 동계 올림픽 때문에 2018 년에는 아예 새로운 둥지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다.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 솔봉로 325에 위치한 평창알펜시아 축구장은 축구장 바로 옆에 스키점프경기장이 있는 독특한 모양이다. 일반인이야 “와! 신기하다.”하겠지만, 축구선수들이나 팬들은 “무슨 축구장이 이래”하며 아쉬워한다. 특히 축구보다 다른 행사가 많아 주차장 이용도 불편한 게 문제다.

 

 본래 알펜시아 스키점핑 축구장은 스키타워의 활용 방안을 고민하던 끝에 나온 아이디어다. 스키점프 경기장은 겨울에만 주로 활용되는데, 이것을 가지고는 연간 14억 원에 달하는 관리비를 마련하기에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겨울에는 스키장으로, 여름에는 축구장으로 활용하자는 방안이 나왔다. 축구장은 지상 4층 규모에 1만3000명의 좌석이 구비돼 있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