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견성일성(犬聲一聲) “탱크 모양 아이스크림 때문에 잡혀 갔시유!”

 

멍! 잘 지냈쥬?

독고여유, 오랜만유. 너무 쉬었다고유? 어디 개가 글 쓰는 게 쉽남유. 뭘 그리 서둘러유. 진득히 기둘리지.

오늘 왔잖유. 왔음 된거유.

 

오늘 이야기도 참 황당혀유.

중국이 본래 그래유.

덩치는 크고 쪼잔햐, 아주 쪼잔햐.

 

뭔 이야기냐? 아 거시지, 좀 기달리슈. 바람을 충분히 잡아야 더 재미도 있는 법이유.

 

중국에 리자치라는 남자 아이가 있슈.

아, 1992년생으로 29살인께 아이는 아녀유. 청년인감? 뭐 나이 좀 먹었슈.

이 얼굴이유.

 

 

잘 생겼쥬?

립스틱도 바르고. 영국 BBC뉴스 캡처 사진이유.

중국에서 되게 유명한 인물이유. 왕후, 아 그렇지 왕홍, 왕홍이라쥬.

타오바오 팔로어만 6400만 명이라 하네유.

‘라방’(라이브 방송) 틀고 물건 소개만 했다 하면 대박으로 팔린다고 혀유.

립스틱 보이쥬?

그 립스틱을 소개해 팔았는데, 단 5분 만에 1만5000개를 팔았다네유.

그래 붙은 별명이 ‘립스틱 다거’라네유. 다거는 ‘두목, 맏형’ 이런 뜻인거 알쥬?

 

그런데 이 친구가 갑자기 ‘라방’ 중 사라졌슈.

정말 ‘퓽’

하고 사라진거유.

뭔소리라뉴? 정말 방송이 갑자기 중단되고 며칠이 지나도 연락이 없는거유.

아 물론,

방송이 갑자기 중단됐을 때 “미안합니다. 기술적 문제로 방송 중단됩니다. 곧 돌아옵니다”라고 했쥬. 그런데 이게 돌아오질 않았시유.

 

그래서 팔로어들이 궁금해 미치쥬.

도대체 무슨 일인겨.

댓글달고, 서로 묻고 난리유.

이유는? 아직도 몰러유.

 

다만 마지막 중단된 방송이 문제일 수 있다고 허네유.

마지막 방송?

그게 아이스크림 소개 방송인데, 뭐가 문제여.

묘하게 아이크림이 탱크 모양이었다네유. 헐 그게 문제여?

 

 

중국에선 문제유. 방송이 나간 날이 다름 아닌 6월 3일이었거든유. 6월 4일이 뭔지 알쥬? 몰러유?

아 그럼 지금까지 헛이야기한 게 되는디… 어찌 6월 4일도 몰러유?

아 그러니께 1989년 6월 4일 톈안먼 사건을 정말 몰러유? 중국 대학생들이 민주주의, 자유를 외치며 톈안먼 광장에서 텐트를 치고 시위를 할 때 중국 공산당이 인민해방군 탱크로 밀고 들어왔슈. 그냥 싹 밀어버리려고 했는디…, 한 학생이, 힘도 없어 보이는 남학생 하나가 나섰슈. 혼자 탱크에 맞선거유. 일렬로 선 탱크 앞에 당당히 선 그 학생 모습이 사진으로 찍혀 당시 ‘톈안먼 사건’의 최고의 사진으로 꼽히고 있슈. 아마 한 번은 봤을 수도 있시유. 잘 생각해 보슈.

 

 

이 텐안먼 사건은 지금도 중국에선 금기유. 혹 중국 여행을 하더라도 굳이 얘기 꺼내지 마슈. 중국 사람들만 곤란해진께.

 

그런데 인기 많은 왕홍이, 그것도 수만 명이 보는 ‘라방’에서 6월 3일 굳이 아이스크림 케이크를 탱크 모형으로 만들 이유가 뭐여? 그쥬?

뭔가 의미가 있어 보이쥬?

그런거유. 중국 당국도 뭐 다르감유. 생각이 다 비슷한 게지. 당국 보기에 괘씸허것쥬? 지금 중국에서는 이 때문에 리자치가 당국자와 오래 차를 마시고 있을 거다, 이리 보고 있는거유.

당국자와 차를 마신다. 이게 뭔 말인지는 알쥬?

아 몰러유? 이것도 몰러유? 그게 당국에 소환당해 주의를 받는다는 의미유. 주의를 받다가 안 되면 그냥 한동안 사라져유. 아직도 그러유. 나중에 신문에 나오쥬. 무슨무슨 혐의로 구속돼 조사를 받고 있다. 뭐 이런거유.

 

참 이야기 해놓고 보니 참 거시기 허네. 쩝 멍~멍. 자주 찾지 마슈. 곧 올텐께. 멍.

 

 

*이 코너는 미국에서 태어나 중국에 입양된 도그 드 보르도(Dogue de Bordeaux) 애완견 ‘독고’의 종횡무진 취재기로 인간을 향한 ‘견성(犬聲) 일성’을 담았습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