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2년 1월 기준 중국 국내 대학 순위

세계 어느 나라든 그렇듯, 학력의 순위는 있기 마련이다.

특히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에서는 더욱 심하다.

과거 봉건시대 학력만으로 귀천이 구분되기도 했는데 그 전통이 아직도 살아 있는 것이다. 과거 문관 귀족들은 공부이 기회를 막고 시험지를 유출하면서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켰는데, 요즘은 자본을 최대한 활용해 더 많은 교육의 기회를 갖는 것으로 기득권을 유지하고 있다.

좋은 성적으로 좋은 대학에 들어가 좋은 일자리를 잡고, 높은 연봉으로 자녀들에게 더 좋은 공부의 기회를 만들어 주는 선순환을 기득권층이 누리는 반면, 서민들은 나쁜 성적에 대학에 가지못하고 낮은 연봉의 일자리를 잡아 자녀에게 공부할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는 악순환을 겪고 있다.

이 선순환 악순환은 계속해 두 계층간의 차이를 벌이고 있다.

한국도 마찬가지지만 중국에서는 어느 대학에 다니느냐가 인생의 절반의 성공을 담보해준다. 

80인생이라고 하면 20세에 이미 그 절반이 결정되는 셈이다.

2021년 중국 대학 순위를 점검해 봤다.

대학 중에선 최근 몇 년간 온건하고 조용한 중국과학원대학의 국제 순위가 국제 44위에 올라 내륙대학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칭화대는 국제 랭킹 60위이자 국내 대학 2위이며 21개 학과에 선발됐다 .베이징대는 국제 랭킹 69위로 ESI 상위 1% 학과 총수 22개, 종합 순위 국내 대학 3위에 올랐다.

신규 진입 대학은 포산과학기술원, 허난과학기술원, 청두대, 선양공업대, 안후이공정대, 선양화공대, 대리대 7개 대학이다.

 

1. 중국과학원대학

2. 칭화대학

3. 북경대학

4. 상하이교통대학

5. 저장대학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