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국무원 '샤오캉 사회 전면 건설' 제목의 백서 발간

 

중국이 '샤오캉(小康) 사회' 백서를 발간했다.

샤오캉은 중국이 추구하는 경제 발전의 단계 가운데 하나다. 빈민 없이 국민 모두가 중산층 이상의 생활을 누리는 사회를 의미한다.

중국 공산당은 창당 100주년인 올해 샤오캉 사회를 건설하는 목표를 세우고 추진해왔다.

국가 건립 100주년이 되는 2049년에는 국민 모두가 부족함 없이 사는 대동사회를 추구하고 있다. 공산당은 이 두 목표를 '두개의 100년 목표'라고 칭하고 있다.

올해 샤오캉 사회 백서는 중국 공산당이 첫 번째 목표였던 샤오캉 사회 건설에 성공했음을 자축하는 것이다.

13일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에 따르면 국무원(행정부에 해당) 신문판공실은 전날 '샤오캉 사회 전면 건설: 중국인권사업 발전의 휘황찬란한 페이지'라는 백서를 출판했다.

백서에서 중국 공산당은 "중국이 전면적으로 샤오캉 사회를 건설한 것은 세계 인권 사업 발전사의 중요한 이정표"라고 밝혔다.

중국 인구는 세계 인구의 5분의 1에 근접하는 데 이들이 모두 빈민에서 벗어났다는 것은 그만큼 인류 발전을 이뤘다는 주장이다.

백서에서 공산당은 아울러 소강사회 전면 건설이 "인권의 기초를 다지고, 인권의 내실을 풍부하게 해 인권의 시야를 넓혔다"고 밝혔다.

인민일보는 이날 1면에 백서 발간 기사와 논평까지 실었다.

이는 미국과 유럽연합(EU)의 강한 인권 개선 압박에 대한 중국 공산당의 답변이다.

중국 공산당이 '14억 인민의 민생 개선이 인권 개선'을 했다는 것이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은 지난달 1일 중국 공산당 창당 100주년 기념식에서 샤오캉 사회 건설의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했다고 선언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