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설원에서 펼쳐지는 스피드 게임 알파인 스키

동계 스포츠의 많은 종목 가장 대중적인 종목은 단연 스키이다. 겨울을 뜨겁게 즐길 대중 스포츠로 자리매김한 스키는 동계 올림픽과 패럴림픽 설상종목의 기초라 불릴 만하다. 아름다운 겨울 산과 자연을 가르며 펼쳐지는 알파인 스키는 이름이 보여주듯 유럽 알프스 지방의 산악 활강 스키에서 유래했다. 뒤꿈치를 고정하는 바인딩이 장착된 스키를 타고 슬로프를 내려오며 속도와 기술을 겨룬다. 1936년 제4회 동계올림픽경기대회에서 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크게 스피드(속도)와 테크니컬(기술)의 두 가지로 나. 스피드 종목은 다시 활강(남ㆍ여)과 슈퍼대회전(남ㆍ여)으로, 테크니컬 종목은 회전(남ㆍ여)과 대회전(남ㆍ여) 등 총 11개 세부종목이 있다. 활강 종목은 이름처럼 빠른 속도가 가장 큰 특징으로, 가파른 경사면을 시속 90~140㎞로 내려오는 만큼 위험도 편이다. 회전 종목은 기문(旗門ㆍ게이트)으로 표시한 코스를 지그재그로 돌면서 가장 빨리 내려오는 지를 겨루는 경기. 기문을 하나라도 빼놓거나 선수의 두 발이 기문을 통과하지 않으면 실격처리 됩니다. 경기 중 평균 시속은 55㎞ 정도지만 수많은 기문을 통과해야 하는 만큼 기술과 유연성이 필수. 대회전과 슈퍼대회전은 회전 종목과 비슷하지만 슬로프가 더 가파르고 기문 사이의 거리도 더
우리나라의 선수들은 신체 조건이나 훈련 환경상 주로 기술 경기 쪽에 포진되어 있다. 최근 스피드팀이 구성되어 선수를 육성 중이며 2018 평창 대회의 유망주로는 정동현 선수, 김현태 선수, 경성현 선수 등을 꼽을 수 있다. 특히 지난 1월 6일 정동현 선수가 FIS 알파인 월드컵 회전종목에서 1회전 상위 30위에게만 주어지는 2회전에 진출하여 월드컵 참가 이래 가장 높은 세계랭킹 14위의 쾌거를 이루는 등 눈에 띄는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글=윤진희 출처=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