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지하철기술의 일대일로사업, 파키스탄 첫지하철인 라호르시 26킬로미터 노선 완공

 

중국의 자본과 기술이 총결집된 중국식 지하철이, 일대일로 사업의 일환으로 파키스탄에 수출돼지난 10월 25일, 서부 펀잡( Punjab) 주의 수도 라호르 ( 拉合尔市/ Lahore ) 시의 25.58킬로미터의 지하철 황색선이 개통됐다고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파키스탄의 펀잡주는 파키스탄의 전인구 약 2억 천만명의 절반인 1억 명이 살고 있고 있고, 파키스탄 GDP의 약 60% 이상을 생산하는 경제중심지역이다.

 

라호르 시는 전 수도인 카라치에 이어 파키스탄 제 2의 도시이지만, 2천년의 유구한 역사가 있는 고대도시가 현재는 공업도시로 탈바꿈해 파키스탄 경제를 이끌고 가는 인구 1,300만명의 현대도시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라호르시의 황색선 지하철은 파키스탄에 처음으로 들어서는 지하철노선이다.

 

모두 26개 역을 가지고 전장 25,58 킬로미터를 운행하게 될 라호르시의 지하철은 , 중국이 지난 2015년부터 일대일로의 대표사업으로서 야심차게 추진해, 약 5년만에 결실을 보게됐다.

 

이 지하철건설에는 중국의 제1의 국영철도기업인 중국철로공정그룹( 中国铁路工程集团)의 설계와 기술, 즉 중국 지하철의 표준기술과 열차 그리고 운행시스템이 패키지로 수출돼 건설됐고, 당분간 운행도 광동성 광저우시의 지하철그룹( 广州地铁集团) 이 대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