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대자연 속에 펼쳐지는 설원의 마라톤 - 크로스컨트리 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Cross-country ski)는 눈 덮인 지형을 스키와 폴을 사용하여 이동하는 겨울 스포츠이다. 노르딕 국가, 캐나다, 알래스카 등 눈이 많은 지역에서 대중적인 스포츠로 자리잡고 있다. 대개 야외의 눈 덮인 지형이나 경기를 위해 만들어진 코스에서 행해지며, 스키 터널  시설을 이용해 실내에서 즐기는 것도 가능하다.

 

 

 

하계 동계올림픽 종목을 통틀어 오랜 역사를 지닌 종목 가운데 하나인 크로스컨트리 스키는  1767년 노르웨이에서 군인들의 크로스컨트리 스키 대회가 열린 이후 스포츠 형태로 발전했다. 그러다 1924년 제1회 프랑스 샤모니 동계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우리나라는 2011년 아스타나-알마티 동계아시안게임 크로스컨트리 스키 여자 10㎞ 프리스타일에서 이채원 선수가 금메달을 획득하면서 새로운 역사를 열었다.

국제표준경기구간은 남자의 경우 15㎞, 30㎞, 50㎞ 등이며 여자의 경우는 5㎞, 10㎞이다. 전통 있는 여러 대회에서는 보다 긴 구간을 적용하는데 스웨덴의 바사 경기의 경기구간은 90㎞에 이른다. 선수들은 간격을 두고 1명씩 출발하는데 결승점까지 가장 짧은 기록으로 경기를 마친 선수가 우승자가 된다. 크로스컨트리 스키 계주대회에서는 4명의 남자선수들이 각각 10㎞의 구간을 맡아 경주를 벌이고 여자선수들은 3명이 1조가 되어 각각 5㎞ 구간을 맡아 경합을 벌인다. 코스는 오르막, 평지, 내리막이 각각 3분의 1의 비율로 구성된다. 주행 시간이 길고 체력 소모도 많아 경기 구간에는 급식소가 설치되어 선수들에게 따뜻한 우유나 과일 등을 제공한다.

 

글 = 윤진희 출처 =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