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1조7천억원 매출 회사, 여성비하 광고로 인한 불매운동으로 폐업위기 !

 

중국 선쩐시에 본사를 두고, 순면제품으로 지난해 100 억 위안 ( 한화 환산 약 1조 7000 억원) 의 매출을 올리던 회사가 , 2021년 초 신년 광고를 잘못내는 바람에 여성소비자들의 거센 항의에 직면해 경영위기에 까지 몰린 것으로 알려졌다.

 

먼저 문제가 된 동영상 광고를 보기전에 캡쳐화면으로 내용부터 요약한다.

 

 

 

한 젊고 아름다운 여성이 어두운 저녁길에 귀가하는 장면이 나오고, 뛰따라 모자를 깊숙히 눌러 쓰고 마스크까지 한 남성이 , 나쁜 짓 ( 성폭행 등 )을 하려는 의도를 가진 듯 뒤를 돌아 보는 여성의 뒤를 쫒아 걸어 오고 있다.

 

 

 

누군가 뒤따라오는 낌새를 챈 여성은 당황해 하며 계속 불안해 하면서 발길을 재촉한다.

 

 

 

그러다 좋은 생각이 났다는 듯 얼굴이 밝아지더니, 손을 어깨에 맨 가방 속에 넣고 무엇인가를 꺼낸다.

 

 

꺼낸 것은 광고하려는 제품인 이 회사 ( 전면시대 , Purcotton ) 의 화장지우는 웨트 티슈 포장이 원샷으로 클로즈업 된다.

 

 

 

이윽고 뒤 따르던 괴한 남성이 가까이 다가와 어깨를 잡아 챈다.
 

 

 

그러자 그 여성이 휙 돌아선다.

 

 

 

 

돌아선 이는 왼 손에 웨트 티슈를 들고 얼굴을 닦고 있는데, 방금 전까지의 분위기와 매우 다르다. 

 

 

무슨 일이냐고 천연덕 스럽게 물어보기까지 한다.

 

 

순간 비명소리와 함께  < 왝... > 이라는 자막이 등장하고...

 

 

 

" ?? 녹차성분의 웨트티슈는.... 한 장이면 족하다 " 라는 광고카피가 뜨는 장면이 광고의 마지막이다.

 

한국에서 이런 광고를 냈더라도 마찬가지 비난에 봉착했을 것이다.

 

이 광고는 < 호신술 防身术 》 이란 제목까지 붙혔다.

 

 

문제의 회사는, 중국어 브랜드 전면시대 ( 全棉时代)영어브랜드 Purcotton 를 내세워, 순면으로 제작한 아동복과 내의를 생산하면서, 여성들의 화장제거 용품등을 제조 판매하는 기업이다.

 

이 기업은 올해 초 화장을 닦아낼 때 쓰는 자사 웨트티슈 제품의 우수성을 광고하기 위한 동영상광고를 인터넷등에 제재했다가, 여성을 비하하고 성폭력 문제의 책임을 여성에게 전가했다는 이유로 전국적인 항의를 받고 두 차례나 사과문을 게재했다.

 

그런데 즉각 사과행동에 나선 것은 괜찮았으나, 그 사과문의 내용이 소비자들의 비난성 관심이 집중된 틈을 타서 자사 제품의 우수성을 홍보에 이용하려는 것이어서, 돌이킬 수 없는 비난의 표적이 되고 말았기에, 젊은 네티즌들이 전국적인 불매운동까지 시작한 것이다.

 

즉 이 회사는 지난 8일 짧은 사과광고를 내긴 냈는데, ' 미안하고 죄송하다' 는 표현보다는, ' 여성들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지키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 ' 이라는 회사의 결의를 더 부각시켰던 것이다.

 

이 브랜드는 회사측의 사과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한층 더 세간의 주목을 받게 되었던 것으로 알려진다.

 

그러자 회사측은 3일 뒤인 지난 10일 저녁, 특별한 주목이 쏟아진 이 틈을 타 , 2차 사과문을 내는 형식의 홍보성 이벤트를 벌여 돌이킬 수 없는 비난에 봉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즉 이 기업은 2차 사과문 앞 부분에 먼저 사과한다고 짧게 언급한 뒤, 이어 자사의 역사가 오래됐고 기술력도 매우 대단해, 수백 개의 특허를 갖고 있으므로 분명히 여성들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위해 큰 기여를 할 것이라는 등의 자화자찬 식의 홍보작전을 편 것이다.

 

그런데 이것이 대단한 실책이었다.

 

즉 주목받은 기회를 이용해 , 회사의 역사를 자랑하고 기술력이 대단하다는 광고성 사과를 낸 이 회사는 도대체 제대로 된 기업인지 의문스럽다며, 오히려 불매운동이 더 확산되는 분위기다.

 

이 기업은 30 년 전인 1990년 대부터 병원에 약솜과 거즈등을 보건용 제품을 납품하면서 성장해, 2009년부터 순면의류 전문점 프랜차이즈사업과 화장품 소품등으로 크게 성공해, 지난해 2020년 매출액이 100 억 위안 ( 한화 환산 약 1조 7천억원 ) 의 대기업으로 약진해 왔다.

 

이 번 여성비하광고와 홍보성 사과의 여파가 어디까지 미칠지 시장의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이 거세게 비난하며 대대적인 불매운동까지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악랄한 광고군, 판매를 위해 못하는 짓이 없어, 그래놓고 사과한답시고 똑똑한 체는 다하네  !

 

 

어쨋든 다시는 이 제품 안살테니까... 잘 가..........

 

 

좋아 바로 이 브랜드는 내 블랙리스트에 들어갔어.

 

 

도를 지나쳤구만, 필히 중벌을 받도록 해야해 

 

 

이 브랜드 똑똑히 알게 되었으니 이후 결단코 쓰지 않을 거야 ... 혹시 이 회사가 광고해서 선전하려는 것이 나처럼 안쓰게 말들려고 한 것인가 ^^ 

 

 

이전에 사버렸는데... 후회되네... 근데 다시는 안 살것.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