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이동통신 도청해킹불가 신기술, 세계최초로 안훼이성에서 시범운용

 

한국은 물론 미국과 유럽등 IT기술 선진국들이 치열하게 개발하고 있는 꿈의 이동통신기술을, 중국이 먼저 개발해 시범서비스에 돌입한다고 홍콩의 사우스 차이나 모닝포스트가지 오늘 보도했다.

 

이 신문은 중국 3대통신사 중의 하나인 차이나 텔레콤사의 소식통의 말을 빌어, 도청이나 해킹등을 100% 방지할 수 있는 소위 양자암호통신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상용화하기 위해, 중국 중부 안훼이성 전역에서 시범 서비스를 개시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특히 극도의 보안이 요구되는 군사적 통신 그리고 보안요구가 높은 업종에서 매우 긴요하게 사용될 것으로 여겨지는 이 양자암호통신방법은, 빛의 입자인 광자를 활용해 정상통신에 방해를 일으키는 해킹신호를 방해할 수 있는 고도의 기술로 알려져 있다.

 

그동안 이 기술의 최초개발을 둘러싸고 미국과 러시아 중국 유럽은 물론 한국과 일본등 통신기술 선진국들이 치열한 경쟁을 해온 것으로 알려졌었다.

 

이 기술은 , 송신자가 음성 영상등 특정정보를 담은 데이터를 송신할 때 , 특정한 수신자에게 이미 암호화처리한 코드( 키/ 열쇠)를 함께 보내는 방식이다.

 

이 때 만약 외부의 초대하지 않은 제3자가 이 송수신관계에 침입하게 되면, 송신 데이터에 숨겨보낸 코드가 스스로 작동해 광자의 상태로 변환시켜 해독을 할 수 없게 막는 원리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신문에 따르면, 차이나텔레콤은 안훼이성의 가입자를 대상으로 지난 1일 시험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해 신청자를 받는다고 공지했다고 알려졌다.

 

이 기술의 적용방법은 비교적 간단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신청자은 통신사가 제공하는 특수한  심카드를 통신기에 추가 삽입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아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