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우방 파키스탄 코로나19 악화 사태 맞아 1조 6천억원 긴급지원

 

중국이 일대일로 사업의 주요국가인 인근 파키스탄의 긴급요청에, 15억달러 (한화 환산 약 1조 6천 억원) 에 달하는 지원자금을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파키스탄의 유력일간지인 익스프레스트리뷴은 어제 , 최근 파키스탄의 코로나19 재확산사태가 위험수준으로 악화되고, 이에 편승한 야당의 정권 퇴진 집회까지 겹쳐 국내경제가 파탄지경에 이르러, 자국정부가 중국에 긴급자금을 요청했었고, 중국이 긴급자금을 어제 지원했다고 보도했다.

 

파키스탄은 중국이 시진핑 주석취임이후 야심차게 펼치고 있는 일대일로 사업과 관련한 중요한 협력국이자 전통적인 우방으로, 현재 파키스탄정부와 공동으로 철도와 고속도로 등 대형 국책사업을 야심차게 펼쳐오고 있다.

 

특히 중국은, 지난 2018년 8월 파키스탄에 새 정부가 들어서자, 그동안의 개발자금 지원 이외에 새롭게 약 67억 달러 ( 한화 환산 약 7조 2천억 원)를 추가로 장기 저리로 빌려주는등, 새 정부의 경제정책과 연합해 파키스탄 에서의 일대일로 사업을 더욱 확장해 나가고 있다.

 

 

익스프레스트리뷴 등 파키스탄 매체들에 따르면, 파키스탄은 현재 코로나19 환자의 확산사태를 억제해야 하는 내부의 문제에다, 사우디 아라비아로 부터 차용한 자금의 만기 상환의무도 수행해야 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파키스탄 매체들은,  파키스탄의 새 정부가 사우디아라비아에게 만기 상환해야 하는 국채는 약 2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국내자금 조달로는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8년에 집권한 현재의 칸 정부는 그동안 중국과 IMF로 부터 긴급구제자금을 대출받아 외국부채와 국내 경제개발에 사용해 왔는데, 국내 정치사태가 또 혼돈의 불안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중국과 중동의 부국들로 부터 장기저리 긴급지원을 받아 돌려막기를 하고 있는 형편이다.

 

파키스탄에는 현재 야당이 무려 10개 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유력 야당인  무슬림연맹(PML-N), 파키스탄인민당(PPP) 등이 연합전선을 형성해 지난 9월 부터 수만명 단위의 시위대들이 격렬한 정권 퇴진 정치집회를 수도 이슬라마바드를 제외한 전국에서 벌이고 있다.

 

여기에다 코로나 확진자수도 하루 3천 명선을 넘어 현재 코로나19 총 확진자가 무려 44만명을 넘은 것으로 알려졌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