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전술 36계 (三十六计) 제8계 "딴짓하는 척 그럴듯 속여 방심케 하면서, 목적을 이룬다"

 

중국전술 36계 (三十六计) 제8계 : 안뚜 천캉 ( 暗度 陈仓 : àn dù Chén cāng ): 상대가 바라는 것처럼 하다가, 방심을 틈타 목표한 것을 얻어라)

 

오늘날 차이나(CHINA)라는 이름의 원조라는  대 진 제국(秦 [Qín]帝国 )이, 영정( 嬴政 yíng zhèng : 진시황의 이름) 의 국토순시중 급작스런 병사로 숨지고, 환관 조고에 의해 4년만에 무너지는 동안,  진시황에 의해 다 망했던 전국시대 7웅가운데 한, 조, 위, 초, 연, 제 등 6개 국의 패장들이, 다시 연합하면서 패권을 겨루는 혼돈의 시기로 돌입하면서, 항우와 유방이 등장한다.

 

손자병법 제 8계인 암도전창( 暗度 陈仓)은, 바로 그 유명한 이른바 초한( 楚汉)지와 관련돼 나온 전법이다.

 

즉 진나라에 망했던 초나라의 장수출신인 항우는, 쇠약해진 진 나라를 치기위해 유방같은 장수들과 연합해 세를 확보 유방과 합세하여 진나라 왕 자영을 죽이고 진나라를 멸망시켰다.

 

그리고 서초(西楚)의 패왕(覇王)이라 칭하며 진나라를 멸망시키는데 연합했던 유방등을 주변의 땅을 주고 제후로 봉하는데, 유방이 불만을 가진다.

 

즉 항우는 한 때 연합했던 유방을 견제하느라, 중원(中原 당시의 중앙무대지역) 에서 멀리 떨어진 서남쪽의 오늘날 친링산맥의 산악지방의 제후로 봉해, 멀리 보내 버리려 한 것이다.

 

 

 

그러자 유방은, 항우가 시킨대로 친링산맥을 따라 산악지대를 넘어 부임지로 가는 것처럼, 일부 병사를 보내 서남쪽 잔도( 험준한 산악을 넘기위해 나무등으로로 만든 계단길)를 고치고 정비하면서, 항우를 안심시킨다.

 

그리고 항우가 이를 그대로 믿고 방심하는 사이, 주 병력을 다시 북상시켜 전창( 陈仓) 이라는 오늘날 빠오지(宝鸡 : 오늘날 샨시성 시안(西安)인근의 주요도시) 를 항우가 모르는 사이 점령해 , 항우에 대항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지를 확보하게 된다.

 

 

손자병법 제 8계인 암도전창( 暗度 陈仓)은, 이 고사에서 나온대로, " (항우가 )모르는 사이에 천창으로 건너 갔다" 는 뜻이다.
 

중국드라마나 영화의 대사중에서도, 겉으로는 잔도( 산악지방의 다리) 를 고치는 척하면서 뒤로는 천창으로 들어가는 ( 明修栈道 暗度陈仓)' 딴짓을 하는 상대에게 믿고 있다가 당했다' 는 의미로 상당히 자주 나오는 말이다.

 

산시(陕西)성 서남부에 위치한 빠오지는,  진시황의 병마용 왕릉이 있는 시안보다 오래된 약 2천 7백여 년의 역사가 있는 도시인데, 당시 초한지 시대에는 '천창(陈仓)현'으로 불렸다.


'보물같은 닭'이라는 뜻의 이름 빠오지 ( 宝鸡)의 도시이름은, 당나라 숙종(肃宗)이 당시 천창 (陈仓)산에서 신비스러운 닭 울음소리를 듣고, 길조(吉兆)라고 여겨 이 닭을 국보(国宝)로 삼으면서 , 당시 천창현의 이름을 빠오지현으로 바꿔 오늘날까지 이르고 있다고 한다.

 

샨시성(陕西) 빠오지(宝鸡)시는, 현대에 들어 과거의 청동기유물들이 대거 발굴돼,  '청동기의 고향'이라고 불리면서,  2천여 년전에 중국의 중심이었음이 입증되기도 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