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5년뒤, 자동차 연 판매량중 전기차등이 20% 이상 될 것.

 

중국경제당국이 내년부터 시작되는 14차 5개년 계획이 마무리되는 해에는, 자동차연간 판매댓수의 20%는 전기차등 친환경자동차가 차지하게 될 것이라는 계획을 발표했다.

 

즉 5년뒤에는 1년에 팔리는 자동차의 5분의 1일 전기자동차가 될 것이라는 말이다.

 

중국의 현재 자동차 판매량증가속도로 미뤄어보면, 향후 2025년 1년에 팔리는 전체 자동차는 약 3천 2백만대가 될 것이라고 중국자동차학회가 밝힌 바 있다.

 

이 수치를 계산해보면, 5년뒤 2025년에는 전기차등이 일년에 약 6백 4십만대가 판매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중국당국의 집계에 의하면 작년 한해 팔린 중국의 전기차를 비롯한 수소차등 친환경 자동차가 120만대가량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5년 만에 친완경차량의 판매를 다섯배 가량 확대시키겠다는 것이다.

 

지난 달 열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즉 제 19기 5중전회는 나흘동안회의를 통해, 내년부터 시작될 14차 5개년 경제개발계획을 토의 확정하고, 각 부처별로 관련계획을 하나씩 하나씩 공개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는 중이다.

 

중국 국무원이 친환경자동차로 분류하는 차종은,  전기차 (B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PHEV), 그리고 수소전기차 등 세 유형이다. 


사회

더보기
중 허베이 한 도시 "빨강, 파랑, 검정색 광고 금지" 조치 논란...중 네티즌, "황당하다"
‘간판에서 빨강, 파랑, 검정색 금지’ 중국 허베이성 산허시의 『산허시 도시계획건설관리 가이드라인』이 중국 사회 논란이 되고 있다. 이 가이드 라인은 “국제 및 국내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빨강, 파랑 바탕색이나 글씨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실제 중국 매체에 따르면 이 지역 일부 상점의 간판이 빨간색에서 초록색으로 바뀌었고, 일부 간판은 아예 철거됐다고 전했다. 한 상인은 “장사가 눈에 띄게 영향을 받았다”고 하소연했다. 중국 인민일보은 이에 “멀쩡히 걸려 있던 간판이 대체 누구에게 피해를 줬다는 말인가? 억지로 색상을 바꾸라고 하는 조치는 어떤 논리로 설명할 수 있을까?”라고 반문하고 있다. 신문에 따르면 실제 이 같은 간판 색상 변경을 강요한 것은 상인의 영업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지출을 떠안도록 했다. 신문에서 한 상인은 “새 간판 제작에 거의 2,000위안(약 38만 8,820 원)이 들었는데, 이는 반달치 임대료에 해당한다”고 밝혔으며, 이 비용을 누가 책임질 것이냐는 의문도 제기됐다. 간판은 오랜 기간 사용되며 고객의 기억에 남는 상징이 되었고, 고객 유치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간판이 법규를 위반하지 않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