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홍콩 캐세이퍼시픽, 반중시위 코로나불황 사상최대감원 5천 900명

 

홍콩의 케세이퍼시픽 항공은 2차세계대전 직후인 1946년 미국인과 호주인이 공동설립했고, 1948년 홍콩 최대 그룹인 영국의 종합상사 스와이어그룹( Butterfield & Swire) 이 인수해 운영해오던 국제선 전용 항공사이다.

 

아시아 항공사로 가장 역사가 오래된  홍콩의 최대 항공사인  그 캐세이퍼시픽항공이, 경영손실을 감당하지 못해 무려 5천 900명을 감원했다.

 

캐세이 퍼시픽은 어제 , 모 회사 직원 5천 900명의 감축을 발표하고 자회사인 캐세이 드래곤은 아예 영업을 중단하기고 결정했다고 로이터통신이 긴급기사로 보도했다

 

이 항공사가 정리 해고하는 5천 900명 가운데는, 홍콩 본사와 허브공항에서 근무하는 직원가운데  5천 300명을 감축하고, 해외 지점에 근무하는 600명을 감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같은 감원규모는 전체 직원의 24%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항공사는 이와같은 인원감축에 일시적으로 투입하는 자금은 22억 홍콩달러 ( 한화 환산 약 3,225억원) 에 달한다 밝혔으며, 이 비용가운데 상당부분은 코로나19로 인한 기업의 피해를 지원하는 홍콩정부의 예산으로 충당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적 쇼핑천국으로 알려진 홍콩의 방문객은 50%이상이 중국 대륙인이고 나머지는 모두 외국인들인데,  2년전인 2018년 부터 범죄인 인도법 개정을 반대하는 반중시위가가 거세게 발생하면서 중국 대륙관광객이 끊기기 시작해, 항공산업이 2년 째 가장 큰 직격탄을 맞아 왔다.

 

여기에 올해부터는 코로나 19까지 겹쳐 , 케세이 퍼시픽의 적자는 올해 상반기에만 99억 홍콩달러(한화 약 1조 4천550억원)에 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항공사가 자회사를 폐쇄하고 5천여명의 직원정리를 발표하기 직전인 지난 9월, 케세이 퍼시픽의 여객운임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무려 98%나 감소한 것으로 발표됐다.

 

이와 같은 여러 악재로 인해 캐세이퍼시픽 주가는은 올해 들어서만 43%가 수직 하락했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