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고령화 중국의 고민 노인연금의 쏠림현상, 양로연금 지급율 조정수술 착수.

 

오늘날 중국의 발전을 가져온  중국 현대화의 아버지 덩샤오핑은, 중국의 십 수억명이 오랫동안 지긋지긋하게 겪었던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초를 만들었다.

 

1997년 94세로 사망한 덩샤오핑은, 마치 전중국인과 자신의 후계자들에게 개혁개방의 정신을 절대 잊지 말라는 유언이라도 하듯이,  생전의 마지막까지 귀가 잘 들리지 않는 노구를 이끌고 선쩐시와 광동성등 발전을 시작한 지역을 돌며 유명한 남순강화를 남겼다.

 

이후 그 정신은 순탄하게 계승되어 이제 중국은 G-2 반열에 올라있다.

 

그리고 인구대국의 중국경제발전은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학의 발전으로 평균수명의 연장과 장수하는 노인의 증가현상을 가져왔다.

 

 

덩샤오핑 살아 생전인 1990년 65세 이상의 인구비율이 9% 이하였지만 2020년엔 그 배가 넘는 17.8 %로 증가했고, 5년 뒤인 2025년에는 65세 이상으로 퇴직연금을 받는 인구가 3억 명을 넘을 수 있다는 통계가 발표됐다. 

 

인구대국 중국은 14억 인민의 생산량도 엄청나지만, 국가와 사회가 노년층에게 제공해야 할 부담또한 엄청나다.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의 퇴직자들이 받은 노인연금 ( 이하 중국식 용어인 양로금으로 기술)은 퇴직전 평균임금의 임금치환율 ( substitution rate) 을 다른 국가들에 비해 비교적 높은 42% 로 책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이 비율은 월급을 많이 받았던 퇴직자나 높게 받았던 퇴직자나 공통으로 적용돼 왔는데, 양로금대상지급 인원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자 관련제도의 대 수술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그동안 경제성장률과 비슷하게, 매년 양로금의 지급액을 증가시켜오면서, 물가상승률의 부담을 퇴직자들이 감당할 수 있도록 제도를 운영해 왔다.

 

그런데 이 제도를 계속 운영하기에는 재정부담이 너무 크다고 판단한 듯 보인다.

 

그래서 관계당국이 양로금을 많이 받는 사람과 적게받는 사람의 실질적 평등을 이루며 재정부담도 덜 수 있는 방안을 연구중인 것으로 보인다.

 

예를들어 월 2,000 위안을 받는 대상에게는 매년 최고 10%의 상승률을 적용하고, 5,000 위안을 받은 중간계층은 5% , 8,000 위안을 받는 고액계층은 5% 미만의 상승률을 적용하는 식의 방안을 연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한편으로 공무원이나 국영기업의 퇴직자들의 양로금이 , 자영업을 했거나 민영회사에서 퇴직한 사람의 양로금보다 높게 책정돼 있는 점을 중시하고,   이 점도 매년 지급액의 증가율에 반영하기로 했다.

 

이와 같은 양로금 개혁방안은 이미 올해부터 비교적 부유한 서부 해지역인 쟝쑤성 ( 江苏省) 에서 부터 시작됐다는 소식이다.

 

쟝쑤성에 거주하는 양로금지급 대상가운데, 자영업과 민영기업 퇴직자의 양로금의 상승률은 5.4%를 적용했고, 공공부문이나 국영기업 퇴직자들에게는 3.9% 상승률을 적용했다는 소식이다.

 

.이러한 양로금 개혁방안은 내년부터 그 대상지역을 크게 확대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