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틱톡에 밀려난 원조플랫폼 콰이쇼우(快手)를 연명시켜온 효자 삼형제.

中 동영상플랫폼 콰이쇼우(快手) 는 미국트럼프의 압박을 받고 있는 짧은동영상플랫폼의 최강자인 틱톡의 중국판임 더우인  ( 抖音)의 유력하고 유일한 경쟁자 이다. 

 

물론 글로벌 이용자 수에 있어서는 더우인과 틱톡이 압도적 우세를 보이고 있지만, 사실 중국에서 이 같은 짤방 컨셉시장을 먼저 개척한 것은 콰이쇼우였다.

 

더우인은 2016년 9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콰이쇼우는 이미 2011년에 스틸사진을 전문으로 공유하는 이미지전용 플랫폼으로 시작해 ,2012년 11월에는 동영상 유행시장의 미래를 미리보고 관련서비스로 확대했었다.

 

그러나 당시 문제는 무선통신의 속도와 스마트폰 보급등 여건이 따라주지 않았음으로 인해 소비자측의 준비가 안돼 있었다는 시차였다. 그렇지만 코아쇼우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리한 확산을 위해 회사자본금과 열정을 탕진하는 실책을 범하면서 회사 재정이 취약해 위기를 맞기도 했다.

 

선발주자였던 콰이쇼우가 여러 이유로 침제에 빠져있는 동안, 신생기업 더우인은 2014년부터 2년동안 극비의 보안을 유지하면서 기술적 그래픽적인 신기술로 플랫폼을 준비하고 5G보급을 앞둔 2016년 9월 혜성같이 등장했다.

 

더우인은 서비스를 개시하면서, 준비했던 엄청난 자금을 홍보와 마케팅에 일거에 쏟아부으면서, 시장을 키우고, 이른바 왕홍들을 적극지원하는 양동작전을 적절히 구사해 단숨에 콰이쇼우를 상상할 수 없었던 격차로 밀어내며 앞서갔던 것이다.

 

절치부심하던 콰이쇼우는 최근 타이완출신의 가수 저우제룬과 계약해 대표얼굴로 영입하며 뒤늦게나마 추격에 나서며 자금마련을 위해 내년엔 홍콩증시에 상장한다고 한다.

 

그래도 콰이쇼우가 뒤늦게 나마 재기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던 건, 콰이쇼우를 떠나지 않고 계속 남아있는 단편영상의 스타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른바 더우인이 등장하기 전에, 그리고 알리바바의 쇼핑채널이 등장하기 전부터 콰이쇼우를 통해 유명세를 얻은 왕홍들 중 더우인으로 계정을 옮기지 않고 콰이쇼우에 더 큰 스타로 발돋움하고 있는 3대 스타를 만나본다.

 

1위. 치 티엔 따오 ( 祁天道 )

 

 

祁天道 (치 티엔 따오)는 첫 번째 야외 캐스터로, 큰 인기를 끌며 3965.6만 명의 놀라운 팬덤을 자랑한다. 또 첫 번째 스타 온라인 생방송 예능 프로그램 '천도스타설'을 만들어 수많은 스타들을 초대해 개그맨같은 토크쇼를 진행하면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위 랑즈우띠 ( 浪子吴迪 )

 

 

일명 MC 오디로 불리는 浪子吴迪 (랑즈우띠)는 자신의 작품을 통해 많은 10대 팬을 끌어모으고, 유명인 천우(天友)와 친분이 두텁다. 그는 현대 콰이에서 3023.2 명의 팬을 보유하고 있어 놀라움을 자아내고 있다.

 

3위 : 장 얼 싸오 ( 张二嫂 )

 

 

 

꽃 솜저고리를 입고 머리에 가발을 쓴 것은 张二嫂 (장 얼 싸오) 의 트레이드마크다. 많은 사람들이 처음에는 이것이 여자라고 여겼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张二嫂는 단역이며 늘 '장씨 둘째 형수' 역할을 맡아 웃음을 자아낸다. 현재 2622.9 만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