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추석 완전 자유귀향허용, 지난해 중추절보다 월병매출 125% 급성장

 

한국은 코로나19의 재유행을 염려한 당국이, 오는 10월 1부터의 중추절연휴기간 동안 고향방문등의 대이동을 자제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은 완전히 코로나 19을 극복한 듯 추석연휴관련 전통음식인 위에삥( 月饼)의 올해 매출이 , 지난해 보다 무려 25% 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중국산업뉴스왕이 보도했다.

 

중국의 인터넷 상거래의 빠른 증가속도가 이미 알려진 가운데, 중국전통의 월병도 역시 인터넷에서 구매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중국 탑클래스의 인터넷 상거래업체 징동닷컴 ( JD.com ) 자사 홈페이지을 통해 9월의 월병판매량이 지난해 보다 약 25% 이상 급증했고, 이에 따라 입점 판매회사들도 준비한 재고가 바닥날 것을 염려해 추가 입고를 서두르고 있는 현상까지 일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여기에다 중국 남부 선쩐과 광저우시등 소득이 높은 일부 대도시에서는 최고 30% 까지 지난해보다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선쩐시의 뚜어툰식품( 深圳多顿食品有限公司) 의 부사장은 현재의 판매추세가 지속되면 추석전까지 지난해의 130%에 해당하는 매출을 기록할 것이 예상된다고, 중국산업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밝히기도 했다.

 

산업뉴스는 또 중국인들의 위에삥 구매에 있어서, 과거에 비해 전통시장에서 구입하는 것보다, 브랜드에서 생산하는 위에삥을 선호하는 경향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면서, 이는 인터넷구매비율의 급증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 뉴스가 전한 위에삥 브랜드의 매출증가를 살펴보면,  루다오샹춘( 如稻香村) 메이신(美心) 광저우지우창(广州酒家) 같은 소위 라오즈하오, 즉  옛부터 이름난 오래된 브랜드들의 매출은 지난해 동기대비 약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한편  지난해 위에삥 판매량은 196억 7천만 위안 . 한화환산 약 2조 3천 7백 억원어치가 소비됐다고 중국산업뉴스는 전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산업뉴스왕은, 추석이 중국전통의 명절이고, 또 위에삥 이란 추석의 대표적인 선물이 중국전통의 음식임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전통브랜드대신, 스타벅스나 외국에서 들어온 커피전문점등 세계적인 외국브랜드들을 달고 출시되는 위에삥을 찾는 경향이 점점 더 강해지고 있다는 염려도 잊지 않았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