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24시간 생활권장악하는 편의점 브랜드 탑 5.

중국이 완전한 산업화를 이루기 전인 2010년 까지도 베이싱 상하이 각 성의 성도(省会)등 1선 급대도시를 제외하고는 24시간 문을 여는 편리점이 전국의 현급도시까지 확산되지은 않았지만, 지금은 중국 전역 어디를 가더라도, 지방의 로컬브랜드를 달고 있는 편의점들이 밤새 불을 밝히고 있다.

 

특히 중국의 제 1위 주유소체인을 갖고 있는 중국석화( 中国石化)의 편의점브랜드가, 중국전역의 주유소와 함께 24시간 방방곡곡에서 손님을 맞고 있다.

 

중국내 24시간 불이 꺼지지 않는 편의점 브랜드TOP 5를 소개한다.

 

 

1927년 미국 (Dallas, Texas) 에서 시작된 브랜드로 오전 7시부터 저녁 11시까지 얼음과 잡화를 판다는 캐치프레이즈로 크게 성장했고, , 1973년 일본회사가 이 브랜드의 일본내 영업권을 수입해 일본 내 첫 가맹점을열었다.

 

1970년대 당시 도쿄와 오오사카등 일본의 대도시는 전세계를 통틀어 각종 산업의 발전속도가 가장빠르면서 인구대국의 아시아 최고의 국가로서, 24시간 쉬지않고 돌아가던 경제권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에 발맞춰 일본에 수입된 세븐 일레븐은 24시간 전일 영업제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도시화 산업화를 진행하던 일본인들의 니즈를 충족시키며 급성장했다.

 

그러던 중 미국의 본사가 자국내 무리한 확장영업의 실패로 파산하자, 일본내 영업권을 수입했던 이토 상사 (日本伊藤洋华堂公司 ,Ito Yokado) 가 미국본사의 주식 73%를 매입해 최대주주가 되고, 이후 세계각국 확장에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일본에서 1972년에 창립한 일본 브랜드다. 중국에 진출하기 위해 2002 부터 상하이에 중국본부를 세우고 2004년 중국 상무부의 허가를 받아 중국내 영업을 시작했다.

 

영업첫해에 무려 400개의 가맹매장을 열어 성공의 기반을 마련했다.

 

 

1997년 중국 최대의 공업지역으로 중국에서 가장 먼저 발전했던 중국 남부 광동성 동완시 (广东省东莞市) 에서 창립한 중국의 토종브랜드.

 

브랜드 명인 ' 메이 이 지아 (美宜佳)' 는 아름답고 편리하고 우수하다는 세 글자를 합성해 만들었다.

 

1997년 중국의 개혁개방선언 이후 특히 중국 남부도시들을 중심으로 중국은 이미 세계의 공장으로 발전을 하고 있었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광동성 동완시는 중국내 최대의 공장지대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었다.

 

세계 각국의 수주를 받은 동완시의 공장들은 당시 24 시간 가동되고 있었고, 24시간 개방편의점의 사업성을 간파한 현지의 회사가 자체 브랜드를 만들어 중국 전역으로 확장해 나갔다.

 

 

 

 

1997년 중국 최대의 소비도시인 상하이에서 창립된 중국 토종의 편의점브랜드이다.

 

초기 본사의 이름 렌화차오시 ( 联华超市股份有限公司) 이름 따 렌화편리점으로 출범했다가, 2002년 렌화콰이커 ( 联华快客) 로 개명했다.   브랜드 로고의 ' 콰이 커 (快 客) ' 는 '빠르게 손님을 맞는다' 는 의미로 알려졌다.

 

 

중국최대의 석유관련 국영기업인 중국석화 ( 中国石化)의 대부분 주유소가 운영하는 24시간 편의점 브랜로도, 중국 토종브랜드이다.

 

브랜드 명 '이 지에 ( 易 捷 )‘ 는 쉽고 빠르다는 뜻이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