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틱톡구하는 최고의 한수', 중국정부 틱톡수출금지지정 묘수에 네티즌 환호

 

미국 트럼프가 지난 여름부터 , 짧막영상 스트리밍서비스로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중국의 틱톡을 미국기업에 넘기지 않으면 미국내 서비스를 중단시키겠다고 협박하는 가운데, 중국당국와 틱톡이 머리를 맞대고 기막힌 묘수를 꺼내 들자, 중국 네티즌들이 환호하고 있다.

 

중국당국과 네티즌들은, 미국 트럼프가 국가안보라는 미명을 앞세워 미래의 알짜 유망기업인 중국의 틱톡시스템을 거저 주워 먹으려 한다고 비난해온 지 오래다.

 

하지만 정작 미국에서의 서비스중단을 염려하는 것처럼 보이는 틱톡서비스의 소유회사인 베이징에 본사를 둔 바이트댄스는, 미국 기업 수 군데와 협상을 개시하려고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가 틱톡의 미국기업인수를 처음 요구할 때는 마이크로소프트를 지명하기도 했고, 여기에 월마트가 전자상거래사업을 키우기위해 인수전에 뛰어들었다는 소식이다.

 

속내야 어쨋든 틱톡측은, 속을 끓이면서도 미국내 틱톡사업의 중단을 막고자 트럼프에 요구에 응하는 모양새를 갖추고 있는 것처럼 보여 왔다. 미국내 동정여론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즉 적어도 틱톡은 트럼프의 요구를 받아들이는 것 같은 모양새를 갖추었다.

 

그런데 여기에 갑자기 중국정부가 , 자국 법으로 틱톡같은 미래 신기술을 중국의 미래재산이라며 외국기업에 매각할 수 없는 기술명단에 포하시켜버린 것이다.

 

종합하자면, 틱톡은 트럼프의 요구에 따르고 싶은데, 중국 당국이 미국기업으로의 매각을 법으로 금지하는 모양이 생겨버린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틱톡의 추후매각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될 리 만무하다.

 

즉 택톡은 중국당국이 금지하고 나서는 바람에 트럼프로부터의 직접 공격을 당하지 않게 되는 면죄부가 생긴 것이다.

 

중국당국이 자국기업 틱톡에게 면죄부를 주고, 미국 트럼프에게 '나하고 얘기하자' 고 대리전을 자처한 것이기 때문이다.

 

 

중국 네티즌들은 묘수를 내놓아 중국기업을 용궁에서 빼내려 하는 자국 정부에게 " 절묘하고 기막힌 한 방을 트럼프에게 날렸다"며 환호를 보내고 있다.

 

ㅎㅎ 드뎌 나라가 나섰구먼 !!  

 

중국정부는 참 지혜롭네... 트럼프 화가 많이 나겠다 ㅎㅎ

 

(중국) 상무부와 과학기술부 일 한번 똑소리나게 하는 군 !

 

바이트 댄스가 어서 이 고비를 넘겼으면 좋겠다 , 될수록 빨리 위기를 탈출해야 하는데... 파이팅 !

 

우리 중국기업들 잘 버텨줘... 당신들 뒤에 십 수억의 중국인민들의 지지가 있쟎아??

그 미국 미치광이도 이게 두려운 거지...

 

나라를 이롭게 하는 자는 사랑하고, 나라를 해치는 자는 미워하리라!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