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헬리콥터전용 항공모함 2척 동시에 2021년 실전배치,

 

중국이 미국 해군이 보유한 헬리콥터전용 항공모함에 버금가는 만재배수량을 가진 대형 헬기전용 항모함 2척을 진수해 막바지 시험운항을 완수했다고, 중국의 군사전문웨이보들이 전했다.

 

대표적인 군사웨이보인 꾸어핑스예 ( 国平视野) 는 18일 , 중국인민해방군 해군의 최초의 헬리콥터 전용 항공모함 075형 상륙공격함 2척이 최근 마지막 시험항해를 시작했다고 전했다.

 

중국의 075형 항공모함은, 갑판에 공격용 헬기를 최소 6대 이상 싣고, 갑판아래에는 탱크와 장갑차 그리고 수륙양용장갑차와 탱크와 약 2개 연대의 병력을 싣고, 상륙작전을 수행하는 항륙항공모함으로도 불린다.

 

이와 같은 대형상륙항모는 영문으로 LHD ( Landing Helicopter Dock) 로 표기된다.

 

중국인민해방군이 마지막 점검중인 075형 LHD 함은 미국이 보유한 세계최대의 만재배수량 4만 5천톤 급의 아메리카급 상륙항모 보다는 약간 작지만, 세계에서 2번째로 큰 말벌급 상륙항모와과 배수량이 동등한 것으로 알려졌다.

 

 

075형 중국 상륙항모는 전장이 250 미터에 폭이 45미터에 이르고 만재배수량응 4만 톤이 넘고 디젤엔진으로 시속 22노트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다.

 

이 규모의 상륙항모는 프랑스와 일본 한국이 보유한 상륙항모들 보다는 훨씬 규모가 큰 것이다.

 

내년 실전배치를 앞둔 중국의 075 상륙항모는 현재 상하이 조선소에서 최종검수를 받고 있으며, 이 조선소는 3번째 상륙항모도 90% 건조를 진행하고 있다.

 

미국의 두척의 상륙항모에는 헬리콥터 뿐만 아니라,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F-35B 스텔스함재기까지 탑재하고 있어 , 현재 수직이착륙기가 없는 중국에 비해 상륙항공모함의 전력은 그만큼 더 앞서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중국 상륙항모는 그 대신 Z-8J과 Z-20J 등 공격용 헬리콥터 30여대를 탑재할 수 있어 상륙작전의 능력에서는 결코 미국의 상륙항모보다 크게 뒤지지 않는다고 중국 웨이보들은 전하고 있다.

 

이  중국최초의 상륙항모는 실전에 배치되면, 한척은 타이완해협 해역을 고정순시하면서 타이완과  미국 군사훈련에 압박을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다른 한척은 남중국해역에 배치되어 베트남과 필리핀등에 해상용 무역시위용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