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17 KBO리그, 341경기만에 400만 관중 돌파

 

한국 프로야구의 인기가 상승 중이다. 2017 타이어뱅크 KBO리그가 전체 일정을 절반도 지나기 전에 400만 관중을 돌파했다. 6월 20일까지 누적관중 398만3255명을 기록 중이었던 KBO리그는 6월 21일 잠실(삼성-LG), 인천(NC-SK), 광주(두산-KIA), 수원(롯데-kt), 대전(넥센-한화) 등 5개 구장에서 4만2539명을 추가했다. 이로써 누적관중 402만5794명이 돼 전체 일정의 약 47%를 소화한 341경기만에 400만 관중을 돌파했다. 지난달 30일 300만 관중이 달성된 이후 22일만으로, 지난 2012년(20일)에 이어 역대 2번째로 빠른 페이스다. 

관중  1, 2위를 기록하고 있는 구단은 잠실 라이벌 두산과 LG다. 6월 말 기준, 일정의 반도 소화해내지 않은 시점에서 LG는 54만8160명, 두산은 53만3223명으로 이미 50만 관중을 돌파해 두산은 9년 연속, LG는 8년 연속 100만 관중 달성이 무난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단의 관중 증가율을 살펴보면, 4월13일 이후로 리그 1위를 독주하고 있는 KIA가 36%로 10개 구단 중 단연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KIA는 지난 17일 경기 매진을 포함해 총 8경기가 매진됐으며 홈 경기의 절반도 소화하지 않은 35경기를 치른 시점에서 50만 관중을 돌파해 창단 이후 처음으로 100만 관중을 넘어설 것으로 기대된다.

 

 

 

2012년 이후 5년 만에 100만 관중을 노리고 있는 롯데는 47만5490명으로 6월 안에 50만 관중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올해 120홈런이라는 역대급 페이스로 팀 홈런 단독선두에 올라있는 SK는 홈 관중수가 42만1675명으로 지난해 대비 14% 증가했으며, 뒤이어 kt는 8% 증가율을 보였다. 현재 KBO 리그의 경기당 관중수는 1만1806명으로 이 추세가 지속된다면 산술적으로 85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글 = 임현진 출처 = news1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