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매체, 러시아가 세계최초 코로나백신 시판승인할 것, 의료진들우선 접종할 듯,

 

러시아가 세계 최초로 자국생산 코로나19백신에 대한 사용승인을 정식승인해, 빠르면 다음달 15일부터 일반인들에 대한 접종을 시작할 것으로 전해졌다.

 

왕이신원등 중국매체들은 오늘 오후 5시경, 러시아의 국립의료용품검정센타에서 자국의 감마레아 국립연구센터가 개발한 백신에 대한 최종검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하면서 일제히 환영을 표했다.

 

왕이신원은, 이 백신은 러시아 국립의료용품 검정센타의 합격통보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8월 10일에서 12일 경에 백신 등록을 마친다음, 러시아 위생부에 판매승인신청을 거쳐 빠르면 다음달 15일경부터 일반인에 대한 백신접종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했다.

 

알렉산드르 세르게예프 (Alexander Mikhailovich Sergeev)러시아과학원장은, 세계최초로 국가단위의 시판승인이 허가될 이 백신은, 먼저 병원등 코로나19 치료 일선에서 일하는 위험집단으로 분류되는 의료진과 방역요원들에게 먼저 접종될 것이고, 일반 보통시민들에 대한 광범위한 접종은 늦어도 내년 초부터는 진행될 것으로 전망했다.

 

러시아의 코로나19 사태를 지휘하고 있는 미하일 무라시코 (Mikhail murashko) 위생부장관은, 최근 여러차례 자국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러시아산 COVID-19 백신이 안전하고 유효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임상시험이 이뤄졌다고 여러차례 밝혀온 바 있다.

 

중국매체들은 그동안 이 무라시코 위생부장관이, 코로나19초기 자국의 위생부산하의 연구기관들에 대한 대폭적인 개혁조치를 푸틴대통령에게 보고한 이후, 관련기관의 코로나19 백신의 연구가 왕성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한편 홍싱신원 ( 红星新闻)은, 그동안 러시아 국방장관이  여러 차례에 걸쳐 '자국 군인들 가운데 백신의 임상시험에 자원한 사람이 많았다' 고 언급한 것을 상기하면서, 러시아 백신이 세계최초로 당국의 승인을 받게 된 배경에는, 붉은 군대의 적극적인 협조가 있었을 것이라고 전했다.

 

박혜화기자 연합뉴스(제휴사)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