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李孝石的《荞麦花开的时节》01]


       宁静秀美的田园风光,宛如一副古朴奇幻的风景画。特别是在这些“化外之境”发生的惊奇故事,更由令人一唱三叹之妙。李孝石的《荞麦花开的时节》,谱写出了一曲远离尘嚣的田园牧歌,荡漾着优美的抒情,寄寓了“人性”。
       李孝石是陶醉于田园风光的韩国现代乡土作家。110年前,他出生于江原道平昌郡的蓬坪,这正是《荞麦花开的时节》的背景地区。李孝石的创作活动始于1925年,他在日本殖民地时期朝鲜总督府的机关刊物《每日申报》上发表了《春》一诗。他从1925年至1942年离开人世,短短的17年创作生涯,共发表了小说60余篇,散文80多篇以及大量诗歌、喜剧、评论等。
       其中,发表于1936年的《荞麦花开的时节》,是最具代表性的作品,也是李孝石的巅峰之作。这部小说不仅是李孝石的代表作,而且还是韩国乡土文学的奠基之作,因此被称为“韩国现代小说史上具里程碑意义的作品”。这部作品浓墨重彩地描绘了自然世界的美好与纯真,还有殖民统治下当代朝鲜知识分子浓郁的思乡情怀。
       《荞麦花开的时节》的主人公徐生元是一个卖皮革的小贩儿,满脸麻子、左撇子。他很渴望爱情,渴求一个家,但只有一头驴长久陪伴着他。他与大驴“在同一家客栈歇脚,在同一缕月光的沐浴下,从一个集市赶赴另一个集市。就这样,一个人和一头驴一起度过了二十年的岁月。”徐生元有故乡,却没有家。“由于欠债未还,沦落到连故乡都不得自由还归的境地,所以一年到头,穿梭于一个集市与另一个集市之间。在反复经过几千遍的路上来来回回,岁月不知不觉的流逝着”。
       “虽然一直因为家乡是青州而感到无比自豪,可好像从来没有回到过家乡。从一个集市到另一个集市,那路两旁美丽的江山,对他来说,就是日思夜念的故乡。在路上滴答滴答走上半日,临近开集的村子时,疲倦的驴会扯着脖子,用洪亮的嗓音嘶鸣一阵。这时,一般是傍晚,所以村子里各家各户的灯逐渐点亮,在黑暗中一闪一闪的。每到这时,徐生元的胸中都会泛起一阵澎湃。”
       徐生元失去了故乡,把自己所有经过的地方都看作是自己的家乡。在他这一悲哀的心境中,我们能体会到乡土中“粗糙、悲痛的灵魂”,正如沈从文笔下刻画出的乡土人士,“柏子”。

 

笔者 金新星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